"아플 것 같은데..." 통증 걱정하면 더 아프다, 이유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세기뿐 아니라 통증에 대한 예측 등이 실제 통증 강도에 복합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기초과학연구원(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우충완 부단장과 유승범 참여교수 공동연구팀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혈류 관련 변화를 감지해 뇌 활동을 측정하는 기술)을 통해 통증 요인들이 어떻게 통합돼 우리가 통증을 느끼는지 밝혀냈다고 23일 밝혔다.연구팀은 높은 층위의 영역에서 통증 정도에 대한 기대치와 실제 자극 세기에 대한 통합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즉 얼마나 아플 것인가에 대한 스스로의 추측이 통증 강도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통증은 외부 자극에 의해서만 발생하지 않고, 생물학적·심리학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일어나는 현상이다.실제로 연구팀이 피험자들에게 열 자극을 전달한 뒤 fMRI로 뇌 신호를 확인한 결과, 같은 자극의 세기에도 통증이 클 것이라 예상한 피험자가 그렇지 않은 피험자에 비해 더 아프다고 보고했다.당초 가설은 열 자극에 대한 예측·실제 자극 정보가 체감각 영역에만 존재할 것으로 봤지만, 뇌를 피질계층 별로 나눠 수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시각 영역에도 자극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운동·감각 영역 등 낮은 층위의 네트워크에서도 예측 정보와 실제 자극 정보가 함께 존재하는 것이다.다만 두 정보간 통합은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나 '변연계 네트워크'와 같은 높은 층위의 네트워크에서만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디폴트 모드는 사람이 휴식 상태에서 아무 인지 활동을 하지 않을 때 활성화하는, 이른바 '멍때리는' 동안 활성화하는 영역이며 변연계
2024-09-23 17:2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