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50만 명 이상 지자체 중 출산율 1위…경기 평택시 10.8% 증가
지난해 경기 평택시에서 태어난 아기는 4110명으로 전년보다 10.8% 증가했다.9일 시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런 증가율은 인구 50만명 이상인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높았다. 지난해 시군 출생아 수 증가율은 평택시에 이어 수원시(9.0%), 화성시(7.4%), 안양시(6.7%), 파주시(5.1%), 경남 창원시(0.8%), 충북 청주시(0.8%) 등이었으며, 전국 출생아 평균 증가율은 3.1%로 나타났다.평택시는 관내 출생아 증가율이 높은 것은 취업자수 증가, 젊은 층의 유입, 주택 보급 확대, 높은 혼인율 등 때문이라고 분석했다.정장선 시장은 "반도체 등 미래산업 활성화로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고, 고덕국제신도시와 평택지제역 인근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이 활발히 이루어져 젊은 층의 유입이 가속화되면서 지역 내 혼인율이 높게 유지되고 있다"며 "이같은 상황이 많은 출산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1-09 12:06:56
9년 만에 반등…작년 국내 출생아수 증가로 돌아섰다
작년 우리나라 출생아가 9년 만에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작년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출생자수는 24만2334명으로, 2023년(23만5039명)보다 7295명(3.10%) 늘어 9년 만에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2024년 출생자수는 24만2334명, 사망(말소)자수는 36만757명으로 2023년보다 각각 7295명(3.10%), 6837명(1.93%) 증가했다.성별로 보면 남아(12만3923명)의 출생등록이 여아(11만8411명) 보다 5512명 더 많았다.출생자에서 사망자수를 뺀 자연적 요인에 따른 주민등록 인구 감소는 11만8423명으로 지속됐으나, 그 폭은 2023년 11만8881명보다 소폭 줄어들었다.작년 주민등록 인구는 5121만7221명으로, 2020년 이후 5년 연속 감소했다. 여자(2571만8897명)가 남자(2549만8324명)보다 22만573명 더 많았다.주민등록 인구의 평균연령은 45.3세였다. 남자는 44.2세, 여자는 46.5세로 여자가 남자보다 2.3세 더 많았다.전국 평균연령(45.3세)에 비해 수도권(44.3세)은 1.0세 낮은 반면 비수도권(45.9세)은 0.6세 높았다.연령대별 주민등록 인구 비중은 50대가 870만6370명(17.00%)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15.27%), 40대(15.08%), 70대 이상(12.94%), 30대(12.93%), 20대(11.63%), 10대(9.02%), 10대 미만(6.13%) 순이었다.0∼14세 유소년 인구는 546만4421명,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549만6018명,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25만 6782명이었다.전체 주민등록 인구(5121만7천221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14세 인구가 10.67%, 15~64세 인구 69.30%, 65세 이상 인구는 20.03%이었다.세대원 수로 보면 1인 세대(약 1012만세대·41.97%)가 가장 많았다. 이어 2인 세대(600만·24.90%), 3인 세대(405만·16.80%), 4인 이상 세대(394만·16.33%) 순이었다. 김민재 행안부 차
2025-01-03 13:07:11
일본도 저출생 심화…통계 작성 이래 첫 70만 명 아래로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일본도 저출생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이 1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출생아 수가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연 70만 명 밑으로 내려간 것으로 추정됐다.작년 1∼10월 인구동태 속보치에 후생노동성의 방법을 적용해 추계한 결과 작년 연간 출생아 수는 68만7080명으로 전년보다 5.5% 감소한 것으로 신문은 추정했다.한편 역대 최저를 기록한 2023년의 일본 출생아 수는 72만7288명으로 1899년 통계 집계 이후 최저였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1-02 10:30:34
10월 출생아 수, 2012년 이후 가장 크게 늘어
10월 출생아 수가 2012년 이후 가장 크게 늘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10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올해 10월 출생아 수는 2만1398명으로 1년 전보다 2520명(13.4%) 늘었다.이는 2012년 10월 3530명 늘어난 뒤로 1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출생아 수는 모든 시도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다. 전국적으로 출생아가 늘어난 것은 2015년 3월 이후 처음이다.1∼10월 출생아는 19만9999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 출생아 수(19만6193명)를 웃돌았다. 이런 흐름이 유지되면 올해 연간 출생아 수는 9년 만에 플러스로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팬데믹으로 혼인이 지연됐다가 엔데믹 이후 몰린 점이 출생아 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또한 출산·혼인 지원 정책과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혼인과 출산 관련 인식이 달라진 점 등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10월 사망자는 2만9819명으로 1년 전보다 974명(3.2%) 감소했다. 사망자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10월 인구는 8421명 자연 감소했다.10월 혼인 건수는 1만9551건으로 1년 전보다 3568건(22.3%) 늘었다. 같은 달 기준으로 2019년(2만327건)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다. 혼인 건수는 올해 4월 이후 7개월 연속 증가세다.10월 이혼 건수는 7300건으로 1년 전보다 616건(7.8%) 감소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12-26 14:54:59
육아휴직자, 2010년 이래 첫 감소세 "원인 살펴보니..."
매년 증가해온 육아휴직자 수가 올해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제도 개선과 사회적 인식 변화로 육아휴직 문화는 빠르게 확산했지만, 정작 출생아 수가 급감하면서 육아휴직 대상 자체가 크게 줄어든 것이다.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육아휴직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육아휴직자는 총 19만5천986명으로 전년보다 3.0%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10년 이후 첫 감소세다.2010년 약 7만3천명에 그쳤던 육아휴직자는 매년 증가해 2020년에는 17만명을 넘었고, 2022년 '3+3 육아휴직제'(부모 모두 육아휴직 시 3개월간 휴직급여율 상향) 시행 후 급증하여 20만명을 돌파했다.그러나 2023년에는 0~8세 인구가 전년 대비 6.5% 감소하고, 2022년 육아휴직 급증에 따르면 기저효과가 작용하면서 육아휴직자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육아휴직 비율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통계에 따르면 육아휴직자 중 아빠는 5만455명으로 전년보다 7.5% 감소했고, 전체 육아휴직자 중 25.7%를 차지했다. 엄마 육아휴직자는 14만5천531명으로 1.4% 줄었고, 비중은 74.3%로 아빠의 3배 이상이었다.연령대는 아빠 육아휴직자가 엄마보다 높았다. 엄마 육아휴직자는 30대 초반(30~34세)이 41.3%로 가장 많았고, 30대 후반(35~39세)이 33.5%, 40세 이상 15.4%, 30세 미만 9.9% 순이었다. 아빠는 30대 후반(35~39세)이 38.2%로 가장 많았고, 40대 이상도 35.7%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육아휴직자는 대기업에 근무하는 이들의 비율이 높았다. 아빠 육아휴직자의 70.0%와 엄마 육아휴직자의 엄마의 58.2%는 종사자 규모 300명 이상인 기업에 근무했다.지난해 태어난 아기의 부모 가운데 작년 육아휴직자의 수는 8
2024-12-18 13:02:25
'출산율 바닥', 다행히 지하는 없었다?..."두 달째 출생아 수 증가"
'역대급 저출산'에도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다. 올해 결혼 건수 증가와 연이은 출생아 수 증가세로, 연간 0.7명대로 급감한 합계출산율이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23일 통계청의 인구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출생아 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만601명(7.9% 증가), 8월 출생아 수는 2만98명으로 1천124명(5.9%) 늘면서 두 달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올해 월별 출생아 수는 4~5월 연속으로 늘어나다가 6월에 감소한 후 7월부터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분기 기준으로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플러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연간 누적 출생아 수도 올해 1~8월 약 15만8천명으로 집계돼 작년보다 0.4% 감소하는 데 그쳤다. 마이너스 폭이 0%대로 줄어든 만큼 하반기 추이에 따라 연간 출생아 수도 플러스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연간으로 증가할 경우 2014년 이후 10년 만의 일이 된다.전문가들도 통계상으로 저출생 흐름이 바닥을 쳤다고 분석한다.유재언 가천대 사회복지학 교수는 "조심스럽지만, 몇 달간의 추세를 보면 바닥을 찍은 것으로 보인다"며 "계속 추락하던 흐름에서 멈춰 섰거나 반등하는 흐름"이라고 말했다.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도 바닥을 다지는 흐름이다.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2015년(1.24명)을 정점으로 지난해 0.72명까지 8년 연속으로 하락했지만, 올해 들어서는 1분기 0.76명, 2분기 0.71명으로 0.7명 선에서 등락 중이다.오는 2030년 정책목표인 '합계출산율 1.0명'을 기대할 정도로 반등의 속도가 붙은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0.6명대로 더 추락하지는 않을 분위기다.최근 들어 출생아 수가
2024-10-23 14:23:10
'8년 6개월 만'...5월 출생아 수 2개월 연속 증가
지난 5월 출생아 수가 1년 전보다 500명대로 늘어나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이같이 출생아 수가 2개월 연속 늘어난 것은 8년 6개월 만의 일이다.24일 통계청이 낸 '5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5월 출생아 수는 1만9천547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14명(2.7%) 많아졌다. 지난 4월(521명 증가)에 이어 2개월째 증가한 것으로, 출생아가 두 달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한 것은 2015년 10~11월 이후 8년 6개월 만에 처음이다.코로나19 펜데믹으로 미뤄졌던 결혼이 2022년 8월부터 작년 상반기까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출생아 수가 지난해 5월 역대 최소치인 1만9천33명을 기록하고 반등세를 보이는 게 아니냐는 기대가 나온다.5월 출생아는 2004년 3만명대로 올랐다가 2018년 2만명대로 하락했다. 이후 작년 5월 처음으로 2만명 아래로 내려갔다.코로나19로 감소한 결혼 건수가 지난 2022년 8월부터 작년 상반기까지 급격히 증가한 것이 출생아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도 풀이된다.다만 올해 5월 출생아 수는 아직 여전히 2만명 아래로,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누적된 출생아 수는 9만9천70명으로 역대 최소치다.통계청 임영일 인구동향과장은 "바닥을 찍었는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하나 2022년 8월 이후 늘어난 혼인 건수가 올해 하반기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결혼 건수는 두 달 연속 두 자릿수대로 증가하고 있다. 5월 혼인 건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천712건(21.6%) 늘어난 2만923건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4월(24.6%)에 이은 20%대 증가율이다.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작년보다 결혼 건수가 늘어나 올해 1월(2만8건) 이후 처음 2만 건대로 올라섰다.통계청 관계자는 "30대 초반 혼인이 늘고 있다"
2024-07-24 18:29:02
아기 '이때' 낳아야 가장 안전...출산하기 좋은 나이는?
출생아와 산모 모두에게 가장 안전한 산모의 나이대는 30대 초반이라는 보고가 '대한산부인과학회지'에 실렸다. 이보다 나이가 너무 어리거나 많으면 각종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오수영·성지희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2005~2019년 15년 사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참고해 첫 아이를 출산한 368만5817명의 여성을 추적 관찰했다.연구팀은 이들을 나이 별로 25세 미만 그룹(15만 3818명), 25~29세(84만 5355명), 30~34세*(173만 8299명), 35~39세(78만 7530명), 40~44세(15만 1519명), 44세 초과(9296명)로 나눴다.연구 결과, 첫 아이를 출산하는 산모의 나이와 임신합병증 위험은 비례했다. 초산모의 연령이 올라갈수록 임신성 고혈압 발생률, 제왕절개 수술률도 높아졌다.연구에 따르면 24세 이하에선 임신성 고혈압 발생률이 2.5%였지만, 45세 이상은 10.2%로 4배 높았다. 제왕절개 수술률도 24세 이하는 29.5%, 45세 이상 74%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였다.다만 조산 등 출생아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은 가장 젊은 24세 이하 그룹에서 비교적 높았다. 이에 따라 나이에 따른 위험도 그래프는 'U자형' 곡선을 그렸다.조산의 주요 원인인 다태임신(쌍둥이)의 영향을 보정했지만 25~29세 그룹을 기준으로 조산의 상대 위험도는 24세 이하가 16%, 30~34세는 7%, 35~39세는 26%, 40~44세 55%, 45세 이상 85% 더 높아, 나이별 차이가 컸다.이번 연구를 통해 초산모 연령에 따른 출생아 질환 발생 위험도 확인됐다. 자폐 발생 위험은 24세 이하 산모의 경우 18%, 40~44세 29%, 45세 이상 50% 더 높았고, 뇌성마비 발생 위험도 24세 이하는 19%, 40~44세 29%, 45세 이상 54% 높았다.주의력결핍 과
2024-07-22 16:32:36
출생률 바닥? 지하도 있다...1분기 출산율 0.8명선 '붕괴'
출생아 감소 추세가 이어지면서 올해 1분기 합계출산율이 처음으로 0.7명대가 됐다.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보다 적은 현상이 계속되면서 53개월째 인구가 자연감소하고 있다.남은 기간에도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경우, 연간 합계출산율은 당초 예상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다만 정부는 2022년 하반기 이후 늘어난 혼인 건수 등이 하반기 출생아 수 반등을 이끌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29일 통계청이 낸 2024년 3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1분기 출생아 수는 6만474명으로 1년 전보다 3천994명(6.2%) 감소했다. 이는 역대 1분기 중 가장 적다.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로, 올해 1분기 합계출산율은 0.76명을 기록해 1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1년 전 0.82명보다 0.06명 감소해 처음으로 0.8명 아래로 내려갔다.통상 1년 중 연초에 집계된 출생아 수가 많고 연말로 갈수록 줄어드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분기별 합계출산율은 더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연간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1분기 0.82명, 2·3분기 각 0.71명, 4분기 0.65명이었다.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에서 전망한 올해 합계출산율은 0.68명(중위 시나리오 기준)이다.정부는 2022년 8월 이후 1년간 혼인 건수가 증가한 점 등을 고려해 하반기 출생아 수가 반등할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첫째아 출산까지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2.53년이다.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 인구 1천명 당 출생아 수)은 2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특히 30~34세(72.3명)에서 4.4명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고, 둘째 이상을 낳지 않는 경향도 이어지고 있다.첫째아 구성비는 61.5%로 1년 전에 비해 2.4%P 상승했고, 둘째아(31.7%)와 셋째
2024-05-29 14:53:13
아기 가장 많이 태어나는 '매년 1월', 올해는 몇 명?
매년 1월은 통상 출생아 수가 가장 높은 달이지만, 올해 1월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신생아 수가 가파르게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난 것이다.27일 통계청이 공개한 '1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 태어난 아기는 2만1천442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천788명(7.7%) 감소했다.월별 출생아 수가 2만명대로 다시 올라선 건 작년 3월(2만1천218명) 이후 10개월 만이다. 하지만 새해 첫 달에 출생아 수가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역대 1월 기록만 놓고 보면 올해 1월은 통계가 작성된 1981년 이래 가장 적다. 전년 같은 달 대비 감소율(-7.7%)도 1월 기준 2022년(-1.0%)과 지난해(-5.7%)보다 높다.1월 출생아 수는 2000년만 해도 6만명대를 기록했지만, 이듬해 5만명대로 감소했다. 2002~2015년에는 4만명대였고, 2016년에는 3만명대로 떨어졌다. 4년 만인 2020년(2만6천646명)부터 5년째 2만명대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올해 1월 결혼은 1년 전보다 2천85건(11.6%) 늘어난 2만8건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결혼 건수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에 대해 통계청은 혼인신고가 가능한 평일이 작년 1월에는 설 명절이 있어 20일이었지만, 올해는 22일로 더 많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4-03-27 13:13:19
저출산에 육아휴직 4% 감소...'이 제도'는 사용 증가
지난해 육아휴직자 수는 줄어들고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용노동부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작년 육아휴직자는 전년보다 5천76명(3.9%) 줄어든 12만6천8명이다.노동부의 육아휴직자 통계는 고용보험을 통한 육아휴직 급여 수령자를 집계하기 때문에 고용보험 가입자가 아닌 공무원, 교사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노동부는 지난해 1~11월 출생아 수가 전년보다 8.1% 줄어들었고, 올해 1월부터 부모 동반 육아휴직 급여 확대가 예고돼 휴직 사용을 미룬 이들이 있기 때문에 이 육아휴직자가 소폭 줄어들었다고 해석했다.또 출생아 수가 줄어든 것을 감안하면 육아휴직 실제 활용률은 증가하고 있다는 게 노동부의 설명이다.작년 휴직자 중 72.0% 여성, 남성은 20.8%로 나타났으며 남성 비중은 2016년 8.7%에서 2022년 28.9%까지 급증했다가 작년에 소폭 감소했다.자녀 연령별로는 1세 미만 영아기에 휴직하는 비율이 67.0%였다.여성은 육아휴직과 출산휴가를 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77.9%가 자녀 1세 미만에 휴직했다. 같은 시기 휴직한 남성은 전체 휴직자의 39.0%, 자녀 초등 입학기인 6~7세에 휴직한 남성은 19.2%였다.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는 매우 증가했다.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란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근로자가 1년간 주당 15~35시간으로 근무시간을 줄이도록 한 제도다. 작년 사용자는 2만3천188명으로 전년 대비 19.1% 증가했다.자녀가 0~1세일 때 사용하는 비율이 28.6%로 제일 높았고 6~7세일 때 사용자는 26.2%였으며, 단축한 근로시간은 주당 평균 12.4시간이었다.정부는 현재 부모 맞돌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육아휴직 기간을 1년에서 1년 6개월로 늘리고 육아기 근로시
2024-02-25 17:12:10
출생아 수 70년대 100만명...지금은? "반의 반토막"
8년째 출생아 수가 가파르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아가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인 반감 주기도 짧아졌다.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1월부터 11까지 집계된 출생아 수는 21만3천572명으로 역대 최저다.월별 출생아 수는 2만명 이하인 1만7천명으로 나타난 데다, 출생아 수가 확연히 줄어드는 연말 시기를 고려하면 지난해 출생아는 23만명이 채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이는 2022년 출생아 수인 24만9천186명과 비교하면 2만명가량 감소한 수준이다.지금까지의 통계를 보면 연간 출생아 감소 폭이 가장 컸던 해는 2017년으로, 2016년 대비 4만8천472명 줄어들어 35만7천771명을 기록했다.이후에도 매년 출생아는 1만~3만명 줄어들어 8년 전 약 44만명에서 지금은 23명도 되지 않는 수준으로 반토막이 났다.출생아 수가 절반으로 줄어든 시점인 반감기도 확연히 짧아졌다. 1970년~1971년 출생아 수는 100만명 이상이었지만 1972~1974년 90만명대를 유지했다. 이후 1984~1990년 60만명대로 떨어졌던 출생아 수는 1991~1995년 70만명대로 반등했다하지만 1996년 70만명 이하로 내려갔다가 2001년 약 56만명, 2002년 49만7천명으로 하락한 이후 지금까지 50만명 선을 넘지 못했다.2015년부터 8년간 이어진 감소세에 따라, 지금은 20만명 선도 깨질 위험이 있는 상황이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4-01-29 09:47:18
저출산 여파…국내 인구 49개월째 자연감소
국내 인구가 49개월째 자연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11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출생아 수는 1만7531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6%(1450명) 감소했다. 이는 1981년 월간 통계 작성 이래 11월 기준 가장 낮은 숫자다. 시도별로는 충북, 충남, 전남 등 3개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늘었으나 서울, 부산, 경기 등 14개 시도에선 감소했다. 올해 1~11월 누적 출생아 수는 21만3572명으로 전년 대비 8.1% 줄었다.11월 사망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99명 늘어난 3만255명이었다. 이에 지난 11월 인구는 1만2724명 자연 감소했다. 11월 혼인 건수는 전년 동월 대비 760건 감소한 1만6695건이었다. 지난 9월 혼인 건수는 전년보다 12.3% 줄어든 반면 10월에는 1.0% 늘어난 바 있다. 11월 이혼은 7923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5건 감소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1-24 13:18:40
10월 출생아 또 역대 최저
지난 10월 출생아 수가 또다시 같은 달 대비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10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작년 10월 2만646명이었던 출생아 수는 올해 10월 1만8904명으로 1742명(8.4%) 줄었다. 1981년 월간 통계 작성 이래 10월 기준 가장 적다. 다만 감소 폭은 8월(-12.8%)과 9월(-14.6%)보다 둔화했다. 출생아 수도 9월(1만8707명)과 비교하면 소폭 늘었다.올해 들어 10월까지 누적으로 태어난 아기는 19만604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감소해 마찬가지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10월 4.4명으로 1년 전보다 0.4명 줄었다.한편 10월 사망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003명(3.4%) 증가한 3만793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10월 인구는 1만1889명 자연 감소했다.10월 혼인 건수는 1만5986건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54건(1.0%) 증가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3-12-27 15:22:22
고꾸라진 출산율 '반전' 있을까?..."올해 혼인 늘었다"
2016년부터 하락세를 이어온 출산율이 내년에는 반등할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예측이 나왔다. 올해 혼인건수가 늘었기 때문이다.홍석철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 상임위원은 저고위와 국회 인구위기특별위원회가 13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한 정책토론회에서, 올해 출생아 수가 22만7천명을 기록해 합계출산율이 0.723명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로, 작년 출생아 수는 24만9천186명, 합계출산율은 0.778명이었다.합계출산율은 2015년 1.239명에서 2016년 1.172명→2017년 1.052명→2018년 0.997명→2019년 0.918명→2020년 0.837명→2021년 0.808명 등으로 계속 하락해 왔다.홍 위원은 이렇게 하락일로를 걸었던 합계출산율이 내년에는 9년 만에 0.79명으로 반등하고 출생아 수도 25만2천명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이는 작년 합계출산율과 출생아 수보다 많은 수준이다.홍 의원은 예측의 근거로 올해 혼인건수가 작년보다 2.9% 증가한 19만7천건으로 예상되는 점을 들었다. 그는 "내년을 저출산 극복의 원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또 "출산을 통해 적정 인구를 유지하는 것이 다양한 사회경제적 경로를 통해 국가와 기업, 개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출산은 공공재'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며 "전 사회적으로 저출산 문제 해결에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이어 "가족친화경영이 인재를 확보하고 기업의 가치와 경쟁력을 제고하는 높은 수익률의 투자라는 점을 인식하고 기업이 일·가정 양립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12-13 12:4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