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폭탄'에 美 아이폰 333만원 되나...삼성이 유리할 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가 시행되면 아이폰 최상위 모델이 333만원까지 인상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아이폰의 주요 생산국인 중국에 대해 높은 관세를 부과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 중국에 대해 34%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기존에 중국에 적용하던 20% 관세를 더하면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제품에 54%의 관세가 붙게 된다. 애플은 아이폰 생산 공장을 동남아 등으로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은 중국에서 생산된다.이에 월스트리트 로젠블래트 증권은 미국에서 799달러에 출시된 아이폰16 시리즈 기본형 가격이 관세 인상에 따라 최대 1천142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애플이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경우 43%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로젠블래트 증권은 아이폰 모델 중 가장 비싼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경우 소비자 가격이 1천599달러에서 43% 올라 2천300달러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 지난 2월에 출시된 보급형인 아이폰 16e의 경우 599달러에서 856달러로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상호관세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한 것으로, 이처럼 인상된 가격은 미국 내에서만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때에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폭넓은 관세를 부과했다. 애플은 당시 일부 제품에 대해 면제나 유예를 받았다.로젠블래트 증권의 바튼 크로켓 애널리스트는 "이번 중국 관세는 미 대표 기업인 애플이 지난번처럼 특혜를 받을 것이라는 우리의 예상과 전혀 다르게 전개되고 있다"고 말했다.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공동 창립자 닐 샤는 "애플이 관세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가격을 최소 30% 인상
2025-04-04 08:36:08
"오르고 또 오르고...금값 어디까지?" 美 관세 발표에 '최고가' 행진
2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국제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넘어섰다.블룸버그와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의 상호관세 부과율을 발표한 직후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금 현물가격은 0.6% 오른 온스당 3천129.46달러를 찍었고, 미국 금 선물도 0.6% 상승한 3천166.20달러에 마감했다.장중 1%가량 오른 금 가격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지난해 각국 중앙은행의 대규모 매입과 아시아 지역 수요 증가로 국제 금 가격은 크게 상승했고, 올해에도 19% 급등했다. 글로벌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꼽히는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높아진 것이다.산업용으로 많이 쓰이는 구리 가격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했다. 구리 가격은 장중 2.2% 급등한 뒤 상호 관세 면제 소식이 전해지자 하락세로 전환해 전날보다 0.1% 상승한 가격에 마감했다.국제 원유 가격은 글로벌 경제 혼란으로 수요 감소가 예상되면서 하락세를 보였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은 미 동부 시간 2일 오후 4시 59분 기준 배럴당 70.73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날 종가 대비 1.4% 내린 가격이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5-04-03 12:2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