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세 내기도 빠듯” 지갑 닫은 1인 가구…소비 회복 ‘주춤’
최근 우리나라 1인 가구가 증가했지만 주거비 상승, 취업난 등에 지출을 줄이는 이들이 늘면서 전체 소비 회복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한국은행은 3일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가구원 수별 2019∼2023년 평균소비성향 변화 조사에서 1인 가구의 감소율이 5.8%(0.78→0.74)로 가장 컸다.이어 ,3인 가구 -4.3%,2인 가구 -2.5%, 5인 이상 -1.8%, 4인 가구 -0.5% 순으로 소비 감소세가 높았다.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 약화의 원인으로는 주거비가 지목됐다.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을 거치면서 월세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1인 가구의 지출에서 월세 등 주거·수도·광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20%를 웃돌았다. 코로나19 이후 지속적으로 월세 가 높아지면서 특히 청년층 1인 가구의 소비를 제약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고령층 1인 가구의 경우 코로나19 경제 충격 당시 임시·일용근로 일자리가 크게 줄면서 겪은 '상흔(상처) 효과'가 이어지면서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아울러 코로나19 이후 급등한 생활물가, 경제충격을 분담할 가구원이 없는 1인 가구의 구조적 특성 등도 소비 약화의 원인으로 거론됐다.특히 2023년 기준 세 가구 중 한 가구가 1인 가구일 정도로 이들의 비중이 큰데다, 전체 소비 지출에서 약 20%를 1인 가구가 차지하는 상황에서 이들의 소비 위축은 국가 전체 소비 회복까지 제약하고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한은은 "내수 기반 차원에서 1인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이 중요한데, 연령대별로 나눠 정책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
2024-12-03 13:30:48
'허리띠 졸라맨' 1인 가구, 315만원 벌고 1.8끼 먹는다...
우리나라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15만원 수준으로, 이 중 40%를 생활비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이상은 부수입 활동을 하고 하루에 1.8끼를 먹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17일 KB금융그룹이 발간한 '2024 한국 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4.8%가 '부수입 활동을 한다'고 밝혔다. 또 1인 가구의 월 소득은 평균 315만원, 연평균 소득은 3780만원으로 확인됐다.이번 조사는 수도권·광역시에 거주하고 독립적인 경제활동을 하는 25~29세 20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이들 1인 가구는 주거비와 식비, 여가비 등 생활비로 월 소득의 40.8% 수준인 128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조사(38.7%) 때보다 2.1%포인트(p) 높아졌다.대출상환도 2년 전 조사 결과에 비해 1.8%p 늘어났지만, 여유자금은 3.9% 감소했다.부수입 활동 비율도 2022년 조사보다 12.8%포인트(p) 높아진 42.0%였다. 부업의 목적은 여유·비상 자금 마련(38.7%), 시간적 여유(18.7%), 생활비 부족(13.2%) 등이었다.부업의 종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시청, 임무 수행 등 '앱테크'(42.1%)가 가장 많았고, 소셜 크리에이터·블로거(6.2%), 서비스직 아르바이트(3.8%) 순이었다.고물가·고금리에 식비를 줄이는 1인 가구도 늘었다. 이들 1인 가구는 하루에 두 끼가 되지 않는 1.8끼를 먹는다고 답했는데, 이는 2022년 평균 2.2끼보다 줄어든 것이다. '혼밥(혼자 식사)'을 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같은 기간 65.2%에서 67.8%로 늘었다.1인 가구의 금융자산은 유동성 자산(현금·수시입출금·CMA 등)이 40.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예·적금(36.2%), 주식·ETF·선물·옵션(15.0%) 순으로 나타났다. 유동성
2024-11-18 09:45:47
'전국 최다' 경기도 1인 가구, 가장 몰려있는 지역은?
경기도 내 1인 가구 수가 2020년부터 서울시를 앞질러 매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2024년) 도내 전체 가구의 3분의1 수준인 170만 가구가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4일 경기도가 공개한 '2024 경기도 1인 가구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1월 기준 도내 1인 가구 수는 전년(163만) 대비 약 8만 가구가 증가한 171만5천 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도내 전체 가구(550만)의 31.2%를 차지하며, 전국 1인 가구의 21.9%다.경기도 1인 가구 수는 2020년 서울시를 추월한 이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시군별로는 수원(10.5%)이 가장 많았고, 이어 성남(7.6%), 고양(7.4%), 화성(7.0%), 용인(6.2%) 순으로 5개 시에 1인 가구가 집중된 모습이다. 시군별 전체 가구 대비 1인 가구 비율은 연천(38.6%)·가평(38.5%)·동두천(37.1%)이 높았고, 과천(18.0%)·의왕(24.0%)·남양주(25.1%)는 그보다 낮았다.1인 가구로 생활한 기간은 5~10년 미만 30.3%, 10~20년 미만 26.4%, 3~5년 미만이 16.1% 순이었다. 2020년과 비교해 5~10년 미만이 13.8%포인트 상승한 반면 1년 미만과 1~3년 미만은 각각 6.7%포인트, 5.1%포인트 감소하며 1인 가구 생활이 장기화하는 추세가 확인됐다.1인 가구가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균형 잡힌 식사'(44.9%)와 '아프거나 위급할 때 혼자서 대처'(42.6%)였다. 생활비 지출은 주거비(30.7%)와 식료품비(26.5%), 의료비(21.0%)가 큰 비중을 차지했고, 여가 활동은 주로 TV 시청(57.2%)과 휴식(37.9%)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 관람(17.7%)과 관광(8.9%) 등의 여가 활동 비중은 도 전체 가구와 비교해 다소 낮았다.이런 분석은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와 여성가족부 가족실태조사, 경기도 사회조사 등 6종의 통계를 바탕으로 8개 분야로
2024-09-04 10:05:08
"게임존·공연장까지..." 서울 '1인가구 공유주택' 나온다
서울시가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을 선보인다. 이번에 선보이는 새 주거모델은 청년·어르신 안심주택에 이은 1인 가구 맞춤형 '특별한 집'을 의미하는 '안심특집'으로, 주변 원룸 시세의 50~70% 수준의 임대료를 내고 주방·세탁실·게임존·공연장 등 다양한 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안심특집)' 공급 계획을 26일 밝혔다.서울시 내 1인 가구는 지난해 기준 약 150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37% 이상을 차지한다.이에 따라 시는 1인 가구 증가세에 맞게 1인 가구를 위한 새 주거 유형인 공유주택을 기획했다. 이번 1인 가구 공유주택은 최신 주거 트렌드를 반영하면서 주거의 효율과 확장성을 증가시키는 데 집중했다.특히 입주자의 안정적인 주거를 돕고 개인의 취향과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는 특화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이 특징이다.안심특집은 개인이 생활하는 주거공간,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공유공간으로 나뉘며,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50~70% 수준으로 공급될 전망이다.공유 공간은 입주자가 사용한 만큼만 부과해 주거비 부담을 덜고, 주차장 개방, 게임존·실내 골프장 등 일부 특화 공간에서 발생한 수익을 통해 관리비를 절감하도록 할 계획이다.또 전세사기 걱정 없는 안전한 임대보증금 관리를 위해 임대사업자 주택임대관리업 등록을 의무화한다.청년 거주기간은 만 19∼39세는 최장 6년, 만 40세 이상은 최장 10년이며, 쾌적한 주거공간을 제공하도록 임대형기숙사 법적 최소 면적(9.5㎡ 이상)보다 넓은 12㎡ 이상의 개인실을 확보한다.또 2.4m 이상 높은 층고와 1.5m 이상 복도 폭을 적용해 개방감을 조성하며, 층간&
2024-02-26 11:31:15
10세대 중 4세대는 '나홀로 세대'...정책 필요
전체 주민등록상 세대에서 1인 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40%를 넘어섰다. 미혼 싱글, 독거노인 등이 늘어남에 따른 현상으로 분석된다.4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타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주민등록상 전체 세대 수는 2천391만4천851개다.2022년 12월 세대 수였던 2천370만5천814개보다 20만9천37개(0.9%) 증가했다.특히 이 중 1인 세대는 993만5천600개로, 2022년 12월 972만4천256개보다 21만1천344개 늘어 1인 세대가 전체 세대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1인 세대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2%다. 전체 10세대 중 4세대 이상은 1인 세대인 셈이다.이는 통계청에서 발표한 지난해 1인 가구 비중인 34%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가구 수는 실제로 함께 살지 않아도 생계 등을 같이 하는 경우를 포함해 1가구로 집계하지만, 세대는 주민등록 주소지로 구분하기 때문이다.즉, 부부와 자녀 1명은 3인 가구로 보지만, 이들이 떨어져 살고 자녀 또한 학업 등을 이유로 다른 주소에 산다면 1인 세대 3개로 집계된다.이에 따라 실제 '나 홀로 사는' 사람의 규모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는 1인 세대 비중이 1인 가구 비중보다 더 정확하다.행안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는 행안부 홈페이지 내 '주민등록 인구통계' 항목에서 찾아볼 수 있다.행안부 관계자는 "미혼 싱글, 독거노인 등이 갈수록 늘어나면서 1인 세대의 비중이 40%를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로서도 1인 세대의 증가에 따른 정책 대응을 고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4-01-04 12:05:47
"혼자 살아요" 1인 가구 소득 얼마?...무직만 40%
우리나라 1인가구 가운데 연소득이 5000만원 이상인 비중은 15%를 겨우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 1인가구 연소득이 처음으로 3000만원을 넘겼지만, 나홀로 가구의 소득 여건은 여전히 열악한 것으로 분석된다. 연소득 3000만원 미만이 전체의 60%를 넘어서고 무직자 비중도 40%나 된다.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3 통계로 보는 1인 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1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평균 3010만원으로, 전년(2710만원)에 비해 300만원(11.1%) 증가했다.1인가구는 소득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체 가구(6762만원)의 44.5%에 불과한 소득을 얻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이 중 1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 비중이 44.5%로 가장 높았고, 3000만~5000만원(22.7%), 1000만원 미만(16.8%) 순으로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한 해 5000만~7000만원의 연소득을 올리는 1인가구는 9.8%, 7000만~1억원 비중은 4.3%였다.연소득 1억원 이상 비중은 2.0%에 불과했다.이는 1인가구 10명 중 6명(전체의 61.3%)은 1년에 3000만원 미만을 벌며, 단 16.1%만 연 소득 5000만원 이상이었다는 의미다.1인가구 자산은 2억원을 조금 넘기는 수준을 지속했다.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기준 1인가구 자산은 1년 전보다 159만원(0.8%) 감소한 2억949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체 가구(5억2727만원)가 평균적으로 보유한 자산의 39.7%에 그쳤다.1인가구는 전체 가구보다 금융자산 비중은 높은 반면 부동산 등의 실물자산 비중은 낮은 모습을 보였다.1인가구의 부채는 1년 전에 비해 1.9% 증가한 3651만원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9186만 원)의 39.7% 정도다.지난해 기준 취업한 1인가구는 455만5000가구로, 전년보다 20만4000가구 늘어났다.전체 1인가구가 750만2000가구이기 때문에 60.7%가 현재 취직한
2023-12-12 16:32:51
1인가구 '1천만' 돌파할 듯..."고령화 심각"
도시화와 고령화에 따라 1인가구 수가 점점 더 늘어 1천만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주민등록 인구는 3년 연속 감소했다. 22일 행정안전부가 발간한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2022년 12월 31일 기준 주민등록인구는 5천143만9천38명이며 주민등록세대는 2천370만5천814세대다. 이 가운데 1인세대가 972만4천256세대로 1천만세대에 육박했다. 1인세대 비중은 41.0%로 1년 만에 0.7%포인트나 높아졌다. 1인세대 비중은 2021년말 40.3%(946만1천695세대)로 사상 처음 40%를 돌파한 바 있다. 1인세대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 이상이 19.1%(185만5천150세대)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은 60대 18.1%(175만8천95세대)였다. 이를 합치면 60대 이상이 37.2%로 3분의 1이 넘는다. 50대는 161만6천451세대다. 50대 이상 1인가구를 모두 합치면 약 523만세대로 과반이다. 30대는 163만4천274세대, 20대는 152만1천514세대이며, 40대는 129만7천192세대로 상대적으로 적다. 1인세대는 전 연령대에서 증가하는 추세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대 2.7%, 30대 3.8%, 60대 4.3%, 70대 이상 5.4%다. 1인세대와 2인세대 합계 비중은 65.2%로 전년보다 1.0%포인트 높아져 10년 연속 상승세가 이어졌다. 3인 이상 세대의 비중은 34.7%로 줄었다. 주민등록인구는 5천143만9천38명으로 전년(5천163만8천809명)보다 0.39%(19만9천771명) 줄었다. 주민등록인구는 2019년말 5천184만9천861명에서 2020년말 5천182만9천23명으로 줄어든 이후 3년 연속 감소했다. 자세한 통계 연보는 행안부의 누리집 '정책자료→통계→통계연보·주제별 통계'에서 전자파일로 확인할 수 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08-22 17:12:23
'혼밥'과 건강의 상관관계? "살찌고 혈당 높으면..."
1인 가구가 늘면서 우리나라 전체 성인 가운데 절반 이상은 하루 한 끼 이상 '나홀로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명 중 1명은 삼시 세끼를 홀로 식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중앙보훈병원 가정의학과 연구팀은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세 이상 성인 5302명을 대상으로 나 홀로 식사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최근 1년 동안 대체로 아침·점심·저녁 식사를 할 때, 다른 사람과 함께 식사했는지'를 물었다. 이어 세 끼 모두 가족 등 타인과 함께 식사한 그룹, 하루 한 끼만 타인과 식사한 그룹, 하루 두 끼 타인과 식사한 그룹, 하루 세 끼 모두 나 홀로 식사한 그룹으로 각각 분류했다. 그 결과, 하루 한 끼 이상 혼밥을 하는 성인 비율은 전체의 53.6%였다. 하루 세끼 모두 대체로 다른 사람과 식사한 사람들의 비율은 전체의 45.6%였다. 하루 한 끼 다른 사람과 식사한 비율은 30.4%, 하루 두 끼만 타인과 식사한 비율은 13.8%, 하루 세끼 전부 나 홀로 식사한 비율은 9.4%였다. 이는 적어도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1명은 하루 세끼 모두 혼밥을 한다는 뜻이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과 독거층에선 하루 세 끼 혼밥을 하는 비율이 전체 성인의 2% 이상을 차지했다. 하루 세끼 모두 혼밥하는 사람은 신체활동 비율도 낮은 편이었다. 허리둘레와 공복혈당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고혈압과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유병률도 높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커졌다"며 "칼로리를 과잉 섭취할 가능성도
2023-06-23 21:53:12
"까기 귀찮아요" 사과 울고 딸기 웃은 이유는?
1~2인 가구가 늘면서 편리함을 가장 중요시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자 과일 매출 순위도 바뀌고 있다.8일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 한해 동안 가장 많이 팔린 과일은 딸기와 포도였다.2019년까지만 해도 사과와 감귤이 1,2위를 기록했지만 2020년부터 딸기와 포도 매출이 크게 상승하면서 지난해에는 아예 1,2위가 됐다.반면 사과와 감귤은 3, 4위로 매출 순위가 내려갔다.이마트는 사과처럼 1년 내내 즐길 수 있는 과일 대신 겨울과 봄철 시즌 과일인 딸기가 매출 1위를 기록한 이유를 1∼2인 가구 증가와 함께 '귀차니즘'으로 꼽았다.편리함을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가 자리 잡으면서 껍질을 칼로 깎거나 손으로 벗겨 먹어야 하는 사과와 감귤 소비가 줄고 상대적으로 먹기 편한 딸기와 포도가 이 자리를 대체한 것이다.딸기와 포도가 인기를 끌면서 다양한 신품종이 잇따라 출시된 점도 매출에 영향을 줬다.딸기는 가장 대중적인 품종인 설향 외에도 금실, 킹스베리, 장희 등 프리미엄 제품이 잇따라 등장하면서 지난해 기준 전체 매출 가운데 프리미엄 품종 비중이 37%까지 뛰었다.포도 역시 2019년까지는 연간 매출 순위 5위안에도 들지 못했지만 2020년 껍질째 먹는 신품종인 샤인머스캣 판매가 늘면서 지난해 매출이 2위까지 뛰었다.반면 껍질과 씨를 뱉어내야 하는 전통적인 품종인 거봉과 캠벨, 머루는 매출이 지속해서 줄고 있다.이마트는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석류 껍질을 제거한 뒤 알맹이만 따로 모아 판매하는 한입 제품 등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제품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01-08 17:05:15
2050년, 4가구 중 1가구는 '부부만 산다'
30년 후, 대한민국 가구의 모습은 어떨까? 1인 가구의 비중은 더욱 높아지고 부부끼리만 같이 사는 가구도 20%를 넘어갈 전망이다. 20일 통계청이 낸 '장래가구추계 시도편 : 2020~2050년' 자료에 따르면 오는 2050년 1인 가구 수는 약 905만 가구로 2020년(648만 가구)에 비해 258만 가구 증가하게 된다.이에 따라 1인 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 대비 31.2%에서 39.6%으로 올라간다. 30년 뒤엔 4가구 중 1가구는 1인 가구가 되는 셈이다.지역별로 보면 2050년 1인 가구 비중은 강원(44.1%)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외 충북·대전(43.5%) 등 9개 시도에서 1인 가구 비중이 40%를 웃돌 것으로 예측됐다.1인 가구는 고령층을 중심으로 늘어나는데, 2050년에 전남·경남·경북 등 11개 시도의 1인 가구 60% 이상이 60세 이상일 것으로 전망됐다.2050년에는 부부 두 사람만으로 구성된 부부가구가 533만5천 가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 가구 대비 23.3%를 차지하는 수준이다.반면 부부와 미혼 자녀로 구성된 부부·자녀 가구 비중은 2020년 29.3%에서 2050년 17.1%로 대폭 줄어든다.지역별로 보면 향후 30년간 모든 시도에서 부부가구 비중이 20%를 넘어갈 전망인데, 부부·자녀 가구 비중은 모든 시도에서 낮아진다.특히 2050년에는 세종·경기를 제외한 15개 시도에서 부부·자녀 가구 비중이 20% 미만으로 낮아짐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는 5가구 중 겨우 1가구만 부부·자녀 가구에 속하게 된다.또 친족이 아닌 남남으로 구성된 비친족 가구도 2020년 41만1천 가구(2.0%)에서 2050년 70만3천 가구(3.1%)로 증가한다.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0년 464만 가구에서 2050년 1천137만5천 가구로 늘어난다.고령자 가구가 차지하
2022-10-20 15:31:03
경기도 1인 가구 빠르게 증가...30년 간 10배 늘어
경기도 내 1인 가구가 30년간 1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8일 발간한 ‘경기도 1인 가구 특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연구보고서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지난해 9~11월 경기도 내 1만60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0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를 토대로 1인 가구 현황을 재분석한 것이다.경기도 1인 가구는 1990년 13만 가구(전체 8.1%)에서 2020년 140만 가구(전체 27.6%)로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배 이상 증가했다. 1인 가구 비율은 전국(31.7%)과 수도권(서 울 34.9%, 인천 28.3%)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 2015~2020년 기간 1인 가구 증가율은 37.0%로 전국(27.7%), 수도권(인천 33.1%, 서울 24.6%)에 비해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르다.경기도 1인 가구 남자 중에서는 34세 이하 청년층이 31.1%, 여자 중에서는 65세 이상 노년층이 32.0%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최근 5년 동안 1인 가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남자 60~64세 97.3%, 여자 85세 이상 83.3%다.1인 가구 전반적인 생활 만족도는 65.0%로 다인 가구 74.5%보다 낮았고 영역별 만족도에서 청년층은 가계와 주거영역, 노년층은 교육과 고용 영역에서 각각 낮게 나타났다.연구원은 이번 조사 결과 △1인 가구에서 비율이 높은 여자와 노인 등을 위한 거주지 환경 개선과 보안 시스템 확충 △주거 문제를 겪는 청년층을 위한 주거비 보조 같은 대책 필요 △경제적 능력이 부족하고 교육 수준이 낮은 노인층의 경제적 기반 마련 △가장 불편함을 느끼는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병원 동행 및 간병인 제공 서비스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1-12-08 14:40:02
1인 세대 사상 첫 40% 돌파
주민등록 1인 세대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40%를 넘어섰다. 1인 세대는 남성 30대와 여성 70대 이상이 가장 많았다. 6일 행정안전부는 "9월말 기준 3분기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전체 세대수는 2338만3689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며 "1인 세대는 936만7439세대로 40.1%"라고 밝혔다.2인 세대는 556만8719세대(23.8%), 4인 이상 세대 444만4062세대(19.0%), 3인 세대 400만3469세대(17.1%)로 집계됐다. 1인 세대 비중은 지난 6월 39.7%에서 0.4%p 오르며 처음으로 40%대를 기록했다. 1·2인 세대 합계 비중은 63.9%이며 4인 이상 세대는 2016년 이래 5년 만에 6%p 이상 큰 폭으로 감소했다.성별에 따른 1인 세대 비중은 남성이 483만5000세대(51.6%)로 여성(453만3000세대·48.4%)보다 다소 많았다.연령대별로는 '70대 이상'이 18.6%(174만1000세대)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뒤이어 60대(17.7%·165만8000세대), 50대(17.2%·161만 세대), 30대(16.5%·154만6000세대), 20대(15.7%·147만1000세대), 40대(13.9%·130만 세대), 10대 이하(0.4%·4만2000세대) 순이었다. 성별에 따른 1인 세대 최대 비중 연령대는 남성 30대(20.4%), 여성 70대 이상(28.2%)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시·도별 1인 세대 비중은 전남(45.6%)이 가장 높았다. 강원(43.7%), 경북(43.5%), 충북(43.0%), 충남(42.9%), 전북(42.9%), 서울(42.8%), 제주(42.1%), 대전(40.9%) 등 9곳도 40%를 넘었다.고규창 행안부 차관은 "1인 세대의 증가 추세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1인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이 사회, 경제, 문화 등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 이에 맞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이진경 키즈맘
2021-10-06 14:12:15
맞벌이·1인 가구 증가에 가공식품 지출 '급증'
맞벌이 가정과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인해 가계 식비 중 가공식품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의 가공식품 지출구조를 분석한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 5월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가계동향조사를 토대로 한 결과로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식료품비(신선식품+가공식품+외식비) 지출액은 71만6000원으로 가계 지출(331만6000원)의 21.6%의 비중을 차지했다....
2018-10-15 13:41:27
1인가구 증가에 가정간편식 웃고 저출산에 영유아식 울고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가정간편식 시장은 성장하지만, 저출산 영향으로 분유 등 영유아식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 안전처(이하 식약처)가 13일 발표한 ‘2017년 국내 식품 생산실적 통계’에 따르면 식품유형 중 즉석조리·편의식품, 식육가공품, 유탕면류, 커피 등이 지난해 급성장했다. 가정간편식(HMR)으로 팔리는 즉석조리·편의식품 생산실적은 2016년 1조 2403억 원에서 2017년 1조 7371억 원으로 40.1% 증가했다.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육가공품(햄·소시지·베이컨류)도 2017년 1조 7784억 원으로 전년보다 14.7% 늘었으며, 유탕면류(봉지라면·용기면)는 2017년 1조 9639억 원으로 9% 증가했다.식약처는 “1인 가구, 맞벌이 가족 증가 등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인기를 끌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반해 저출산 현상 지속 등으로 영·유아식은 2016년 4172억 원에서 2017년 3965억 원으로 5% 감소했다. 영유아식은 분유류, 조제유류, 영아용 조제식, 성장기용 조제식, 영·유아용 곡류 조제식, 기타 영·유아식, 영·유아용 특수조제식품 등을 말한다. 우유류 역시 2016년 2조 7039억 원에서 2017년 2조 5893억 원으로 4.2% 감소했다. 김지현 키즈맘 기자 jihy@kizmom.com
2018-09-13 14: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