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치매 조절 가능해지나…국내 연구 성과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특정 단백질을 조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확인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정수 박사 연구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류훈 박사 연구팀, 미국 보스턴 의과대학 이정희 교수 연구팀과 함께 '발로신 함유 단백질'(VCP)의 타우 단백질 제거 기능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타우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응집·축적돼 발병하는 타우 병증의 하나이다.알츠하이머병은 전체 치매의 7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치매로 지난해 기준 국내 환자 수가 62만4천187명에 달하지만,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만 있을 뿐 현재까지 개발된 효과적인 치료제는 없다.연구팀은 동물모델에서 인간 타우 단백질 발현에 따라 VCP 발현도 함께 변화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VCP 발현을 조절해 타우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동물 실험 결과 VCP 발현이 줄어들면 타우 단백질 축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VCP 발현이 늘어나면 타우 단백질 응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알츠하이머병 치매 관련 행동까지 개선되는 것이 확인됐다.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 조직에서도 두 단백질이 반비례한다는 것을 임상적으로 확인했다.VCP가 자가포식하는 과정에서 타우 단백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VCP 활성 촉진제와 자가포식 활성 촉진제를 함께 투여하면 타우 단백질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이정수 박사는 "아직 명확한 치료제가 없는 알츠하이머병 등의 타우 관련 퇴행성 뇌 질환 치료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며 "다른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김경림 키
2024-12-18 11:29:47
오염된 조개 먹고 비브리오 패혈증…어떤 과정으로 감염되나?
비브리오 패혈증균이 인체에 침투해 면역 체계를 공격하는 과정을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거나 피부 상처를 통해 침투한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의해 감염되는 질환이다.해수 온도가 높아지는 5∼6월께 발생하기 시작해 8∼9월 가장 많이 발생한다. 연간 환자 수는 100명 미만으로 많지는 않지만, 사망률이 40∼50%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다.비브리오 패혈증균은 다양한 독성 인자를 함유한 'MARTX 독소'를 생산하는데, 이 독소는 평소 비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하다 인체에 침투하면 인체 세포 단백질을 이용해 독성 인자들을 내뿜는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지난 2019년 선행 연구를 통해 MARTX 독소가 독성 인자를 방출해 병원성을 활성화함을 밝힌 바 있다.이번 연구에서는 MARTX 독소에서 방출된 독성인자가 인체 세포 내 단백질과 만나 인체 면역을 공격하는 '트랜스포머 단백질'로 전환, 인체 면역 체계의 초기 방어시스템을 무력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초저온 전자현미경(cryo-EM)과 X선 결정학 기술(X선 회절을 이용해 결정체의 입체 구조를 분석하는 기술)을 이용해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인체 감염 과정을 관찰한 결과, 독성인자 'DUF1-RID'가 세포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체 내 '칼모듈린' 단백질과 결합하는 모습이 확인됐다.이어서 또 다른 신호 전달 단백질인 'Rac1'과도 결합해 면역 유지에 필수적인 물질을 분해하고 면역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 산소종 생산을 마비시키는 방법으로 패혈증을 촉진한다는 것을 밝혔다.연구팀이 DUF1-RID 독성인자가 칼모듈린, Rac1과 결합하지 못하게
2024-09-04 14:1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