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줍줍', 무주택자만 허용해야"...무순위 청약 제도 바뀐다
이른바 '줍줍'으로 불리는 무순위 청약 제도가 개편된다.국토교통부는 무순위 청약 주택이 실수요자인 무주택자에게 공급되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13일 밝혔다.부양가족으로 청약 점수를 부당하게 높이는 꼼수를 막기 위해 요양급여를 활용하여 부양가족과 실거주 확인 절차를 강화한다. 또 유주택자는 '줍줍'을 할 수 없도록 막고, 거주지역을 제한하도록 개편될 가능성이 높다.무순위 청약은 1·2차 청약에서 미달했거나 계약 포기 등으로 발생한 잔여 물량에 청약을 다시 받는 제도다.집값 급등기 무순위 청약이 '로또 청약'으로 불리며 과열되자 정부는 2021년 5월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무주택자만 청약할 수 있도록 자격을 제한했다.그러나 이후 미분양 우려가 커지면서, 2023년 2월 28일 민영아파트 무순위 청약 요건을 대폭 완화해 사는 지역이나 주택 수와 관계없이 누구나 청약할 수 있도록 했다.하지만 누구나 '줍줍'을 할 수 있는 상황에서 분양시장이 살아나자 '일단 넣고 본다'는 식의 청약이 급증해 문제가 됐다.실제로 지난해 7월 경기 화성시 '동탄역 롯데캐슬'은 7년 전 분양가로 무순위 청약을 진행한 결과 1가구에 294만5천명이 몰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이 마비되기도 했다.이에 따라 국토부는 무주택자만 줍줍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고, 지역 제한을 어떤 방식으로 할지 검토 중이다.부정청약을 막기 위해 부양가족과 실거주 여부 서류 확인 절차는 강화한다.지난해 서울 강남권 분양 단지에서 부양가족이 6명 이상이면서 청약통장 가입과 무주택 기간을 15년 이상 유지해야 받을 수 있는 '만점 통장'이 다수 나오자, 부양가족
2025-01-13 17:12:36
'묻지마 청약' 주의..."위치·환경 잘 따져야"
신규 분양 아파트의 청약 인기는 여전히 높지만, 이른바 '선당후곰(당첨 먼저 되고 고민하자)' 식의 묻지마 청약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높은 경쟁률로 1순위 마감한 단지도 막판 계약을 포기하는 당첨자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1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일반분양을 진행한 서울 동작구 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 미분양 물량이 이번 주 시장에 나온다. 당장 내년 3월 입주하는 후분양 단지로,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통한 무순위 분양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청약홈 이용 시 1순위 계약률이 공개되는 등 투명하게 분양이 이뤄지는 장점이 있다. 단지는 지난달 5일 진행한 1순위 청약에서 401가구 공급(총 771가구)에 5626명이 몰려 평균 14대 1로 마감됐다. 지하철역과 다소 거리가 있고 높은 언덕 위에 위치하는 점이 단점으로 꼽혔는데, 인근 입주 17년차 1122가구 대단지인 상도더샵 실거래가(24평 10억~32평11억원대)보다 높은 9억3254만~13억9393만원 수준의 분양가로 논란이 있었다. 같은 시기 분양한 구로구 호반써밋 개봉도 나란히 '줍줍' 시장에 합류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은 전날 호반써밋 개봉 무순위(사후 1차) 청약을 오는 16일 실시한다고 밝혔다. 총 317가구 중 110가구를 일반분양했는데, 전용 84㎡ 49가구를 포함한 72가구가 무순위로 나왔다. 1순위 청약 경쟁률이 평균 25대 1이었음에도 실제 계약률은 34.5%에 그친 것이다. 이 현상 역시 고분양가 영향 때문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분양가는 최저 5억6380만~18억7500만원(전용면적 84㎡ 9억원대)인데, 인근 입주 9년차 개봉 푸르지오(978가구) 전용 84㎡ 최근 실거래가 8억2000만원보다 높다. 또 비행기 소음 영향권인 점도 감점 요소로 작용했다. 윤지해
2023-10-11 12:3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