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 밴드로 기분 알아낸다? "전기활동이 단서"
팔목에 착용하는 손목 밴드 장치로 조울증 환자의 기분 변화를 제때 알아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나 나왔다. 조울증은 기분이 올라간 상태인 조증(躁症)과 기분이 가라앉은 상태인 울증(鬱症)이 번갈아 나타나는 정신 장애다. 그래서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라고도 불린다. 이 경우 언제 울증이 조증으로, 또는 조증이 울증으로 바뀔지 예측이 어렵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병원 신경과학 연구소 조울증 연구실의 정신의학 전문의 디에고 이달고-마쎄이 교수 연구팀은 엠파티카 E4 손목밴드(Empatica E4 Wristband)로 조울증의 기분 변환을 포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11일 보도했다. 엠파티카 E4 손목밴드는 연구자와 의사가 일상생활 생리학을 연구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연구팀은 조울증 환자 38명과 건강한 사람 19명에게 이 손목밴드를 48시간 동안 착용하게 한 뒤, 손목밴드를 통해 나타나는 피부의 전기활동 등 생리학적 생물표지를 수집했다. 그 결과 조울증 환자는 울증 상태와 조증 상태일 때 피부의 전기활동이 달랐으며 건강한 사람과도 달랐다. 울증 상태일 때는 다른 조울증 환자나 건강한 사람들보다 피부의 전기활동이 현저히 약했다. 이러한 전기활동 변화로 기분이 조증에서 울증으로 또는 울증에서 조증으로 이동하는 것도 포착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현재 조울증의 기분 변화는 대부분 의사와의 인터뷰 또는 설문검사를 통해 주관적으로 진단되고 있다. 쉬운 일이 아니다. 또 정확한 치료제를 결정하기도 어렵다. 이렇게 투여된 치료제에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는 환자의 30~40%에 불과하다. 조울증은 환자의 기분 변화가 언제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2023-10-12 14:47:08
"조울증, 항우울제 오래 써도 괜찮다"
조울증 치료를 위해 항우울제를 장기간 복용해도 괜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울증은 기분이 상승한 상태인 조증, 기분이 가라앉은 상태인 울증이 번갈아 나타나는 정신장애로, 공식 명칭은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다. 현재 조울증의 치료 지침은 항우울제 사용을 권고하지 않고 있다. 항우울제를 사용하면 오히려 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 의대 정신의학과장 라크슈미 야탐 박사 연구팀은 항우울제를 1년 내내 투여해도 2개월 후 끊는 것보다 조증 발생률이 적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16일 보도했다. 신세대 항우울제 투여 후 울증에서 이제 막 벗어난 조울증 환자 17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항우울제는 조울증 환자가 울증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되지만 그 대가로 조증을 유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 임상시험을 하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A)엔 52주 동안 항우울제를 계속 투여하고 다른 그룹(B)은 6주 후부터 항우울제 복용을 점점 줄이게 하다가 8주가 되면서 위약(placebo)으로 대체했다. 그렇게 52주간 관찰한 결과 A그룹은 31%, B그룹은 46%가 조증이 재발했다. 이 차이는 통계학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역치(threshold)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그러나 항우울제 아니면 위약을 투여한 특별한 기간만을 집중적으로 살펴봤을 때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A그룹은 27%, B그룹은 45%가 조증이 재발했다. 이는 통계학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차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울증 발생률도 유
2023-08-17 17:37:01
"조현병·조울증 신호, 어릴 때 감지할 수 있다"
조현병과 조울증 위험 신호를 어린 시절에 미리 발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조현병은 환각, 망상, 환영, 혼란, 기이한 행동 등을 나타내는 정신 질환으로, 이로 인해 사회활동과 가족 관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유병률은 세계 인구의 0.5%로 남성에게서 특히 많이 나타난다.조울증은 기분이 고조된 상태인 조증과 기분이 가라앉은 상태인 울증이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정신장애로, 공식 명칭은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다.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의대 정신의학 전문의 이언 켈리허 교수 연구팀은 조현병과 조울증 환자는 아동 또는 청소년기에 이미 정신과적 진료를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를 발표했다고 미국 과학진흥 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10일 보도했다.연구팀은 1987년 태어난 아이들을 대상으로 17세 이전에 '아동·청소년 정신 건강 서비스'(CAMHS: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Services)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서 정신 건강 진료를 받은 전자 기록과, 이들 중 17~28세 사이에 조현병이나 조울증 진단을 받은 기록을 비교 분석했다.CAMHS란 영국 보건의료 제도 산하 기관으로 0~17세 아이들의 정신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다.그 결과 CAMHS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이력이 있는 아이들은 28세까지 조현병 또는 조울증 진단율이 15%였고, CAMHS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아이들은 37%로 나타났다. 반면 CAMHS의 진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청소년의 조현병 또는 조울증 진단율은 1.8%였다.이는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받은 정신건강 진료 기록이 이들의 성장 과정에서 정신 질환의 경로와 조기 치료를 시작할 시기를 알려주는 중요한 기회라는 것을 시사한다고
2022-09-13 13:48:35
조울증 환자 증가…20대·70대 증가세 뚜렷
기분이 들뜬 상태인 조증과 우울한 기분이 지속되는 우울증이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정신장애인 조울증 환자가 20대와 70대 연령층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관련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13년 7만천여 명에서 2017년 8만6천여 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70대 이상 노령층과 20대 청년층에서 증가세가 뚜렷해 70대 이상은 12.2%, 20대는 8.3%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여 전체 연평균 증가율 4.9%를 크게 웃돌았다. 20대의 경우 학업이나 취업 등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70대는 신체적 질병이나 가까운 사람들의 사망 등 스트레스 요인으로 관련 질환 환자가 느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조울증 진단을 위한 특별한 검사는 없고 의료진의 심층 면담으로 평가된다. 치료법으로는 약물치료가 가장 중요한데 증상이 안정화됐어도 자주 재발하기 때문에 꾸준히 약물치료를 받아야 하며 다른 사람의 안전을 위협할 정도면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석 교수는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환자들의 수명이 늘면서 젊은 시기에 양극성 장애 진단을 받고 노년기에 접어드는 경우가 많아졌다"며 "노년기에는 가까운 사람들이 세상을 떠나거나 신체적 질병에 시달리는 등 스트레스 요인이 많아 양극성 장애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20대의 경우 학업, 취업 스트레스로 양극성 장애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19-03-14 15:4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