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경기도 출생아 9년 만에 '반등'
지난해 경기도 출생아 수가 9년 만에 반등했다. 28일 통계청의 '2024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 출생아 수는 7만1300명으로 전년도 6만8867명보다 2483명 늘었다. 이는 전국 전체 출생아 수 23만8300명의 29.9%를 차지한다.경기도 출생아 수는 2015년 11만3495명 이후 매년 감소세를 보이다가 9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지난해 경기도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가임 기간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전년도보다 0.02명 증가한 0.79명으로 전국 합계출산율 0.75명보다 0.04명 많았다.인구 1천명당 태어난 아이의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의 경우 5.2명으로 전국 조출생률 4.7명보다 0.5명 많았다. 이는 1위인 세종시(7.5명) 다음이었다. 호미자 경기도 인구정책담당관은 "저출생 대응을 위해 가족친화적 문화 분위기 조성, 일·가정 양립 정책을 추진한 것이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며 "계속해서 결혼·출산·양육의 부담을 줄이는 좋은 환경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2-28 18:34:39
경기지역 내 합계출산율 가장 높은 곳 '과천'
경기도 내에서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곳은 과천시로 확인됐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한다. 과천시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발표된 통계청의 '2023 인구동향조사'에 따르면 과천시의 작년 합계출산율은 1.02명이다. 전국 합계출산율은 0.72명, 경기도 0.77명, 서울은 0.55명으로 집계됐다.과천시는 과천지식정보타운 입주가 이러한 통계가 나온 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 과천지식정보타운은 과천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조성 중인 비즈니스·교육·문화·주거 복합도시다. 오는 2026년까지 12개의 공동주택단지에 8182세대가 입주를 완료하고 2024년까지 118개 기업이 들어설 예정이다.이와 관련하여 시는 다양한 임신, 출산 관련 지원 정책을 펴고 있다.지난해부터 임신축하금 20만원을 지급하고 출산축하용품 지원 금액도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확대했다. 올해부터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사업의 정부 지원 외에 별도로 부담하는 본인부담금 비용을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했다.신계용 과천시장은 "임신, 출산을 위한 실효성 있는 사업을 꾸준히 발굴하고 아낌없는 지원을 통해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과천을 만들겠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3-05 15:3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