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얼마 안 남았는데" 어린이·청소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 환자 증가
어린이와 청소년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 환자가 계속 늘고 있다.1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14주차(3월 30일∼4월 5일) 의원급 의료기관의 인플루엔자 의사환자(38도 이상 발열과 함께 기침, 인후통 증상 동반자) 수는 외래 환자 1000명당 16.9명이다.10주차에 8.0명에서 바로 다음 주 10.8명으로 늘더니 이후 매주 13.2명, 16.3명으로 증가 추세다.의사환자는 13∼18세(56.1명)와 7∼12세(53.8명)에서 가장 많아 소아·청소년 사이에서의 유행이 뚜렷했다.호흡기 바이러스 병원체 감시 결과상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도 올해 14주차에 22.5%로 4주 연속 올랐다. 바이러스 중에서는 B형(21.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질병청은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 백신 접종을 권고했다.2024∼2025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은 인플루엔자 감염 시 중증화 위험이 큰 65세 이상(1959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임신부, 생후 6개월∼13세(2011년 1월 1일∼2024년 8월 31일 출생자)를 대상으로 시행 중이다.지영미 질병청장은 "인플루엔자가 학령기 소아·청소년에서 높은 발생을 보이는 만큼 학교나 가정에서 아이들에게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교육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며 "이번 절기에 A형 인플루엔자 진단을 받았더라도 다시 B형 인플루엔자에 걸릴 수 있기에 백신 미접종자는 지금이라도 예방 접종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4-11 14:37:21
지난주보다 136% 증가…심상치 않은 독감 유행에 청소년 특히 조심
국내에서 인플루엔자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4년 마지막 주(12월 22∼28일) 전국의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의료기관 300곳을 찾은 외래환자 1000명 가운데 독감 증상을 보인 의심환자 수를 나타내는 독감 의사환자 분율은 73.9명이었다. 이는 1주 전의 1000명당 31.3명에서 136% 급증한 수치다.예년 인플루엔자 유행 정점 때의 의사환자 분율과 비교해보면 2016년 86.2명 이후 최고 수준이다.지난해엔 73.9명, 2023년 61.3명, 2022년 60.7명이었다. 코로나19로 독감 유행이 없던 2020년과 2021년엔 각각 3.3명, 4.8명이 최고치였다.모든 연령대에서 환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13∼18세 청소년층에서 환자 수가 특히 많았다. 1000명당 151.3명으로, 이번 2024∼2025 절기 독감 유행 기준(1천 명당 8.6명)의 17.6배에 해당한다.이어 7∼12세가 137.3명, 19∼49세 93.6명, 1∼6세 58.4명 순이었다.질병청은 고위험군은 지금이라도 독감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인플루엔자 감염 시 중증화 위험이 큰 6개월∼13세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은 내달 4월 30일까지 무료로 접종을 받을 수 있다.지난해 12월 20일 기준 국내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발령된 상태라 소아, 임신부 등 고위험군은 항바이러스제 처방을 받을 때 건강보험 요양급여를 적용받을 수 있다.현재 유행 중인 바이러스는 이번 절기 백신 생산에 사용된 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해 백신 접종으로 충분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치료제 내성에 영향을 주는 변이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1-03 11:0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