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이용자 "문자·통화보다 데이터가 중요"
휴대전화 이용자들은 통화와 문자보다 데이터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동통신 전문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이동통신 기획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컨슈머인사이트는 14세 이상 휴대전화 이용자 3만3242명을 대상으로 통신요금에 대한 인식을 물었다. 설문 결과 휴대전화 이용자는 '통신요금'보다 '단말기 가격'에서 느끼는 경제적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전체 통신 관련 요금을 비교했을 때 '단말기 구입 가격이 더 비싸다'는 응답이 57%로, '통신비가 더 비싸다'(43%)보다 14%포인트 많았다.특히 알뜰폰(MVNO) 이용자는 65%가, 통신3사(MNO) 이용자는 55%가 '단말기가 더 비싸다'고 답해 알뜰폰 이용자의 부담이 더 컸다.컨슈머인사이트는 "실제로 그동안 통신요금보다는 단말기 가격이 더 많이 올랐다"며 "비싸진 단말기 가격이 매달 통신요금에 할부로 부과되거나 초기에 목돈을 들여 일시불로 구입(일명 자급제)해야 하므로 체감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또한 소비자가 통신요금 내역에서 가장 중시하는 항목은 '데이터'로 52%를 차지했다. '통화·문자'의 가치는 27%였으며, 나머지 21%는 멤버십 혜택 등 '비통신' 서비스의 가치로 인식했다.비통신 서비스에는 멤버십 혜택(편의점·영화관 할인 등)이 7.1%로 가장 많았고 데이터 공유·추가(테더링·리필 등) 5.2%, OTT·음악 등의 구독 서비스 3.6%, 고객응대 서비스 2.0% 등이 포함됐다.컨슈머인사이트는 "비통신 서비스의 가치는 전통적 통신 서비스의 핵심인 통화·문자의 가치에도 크게 뒤처지지 않았다&qu
2025-03-05 11:14:38
페이스북, 이용자 온라인 활동 추적…'100억' 물어낸다
세계적인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이 사용자가 로그아웃 한 이후에도 이들의 온라인 활동을 추적해 온 행위와 관련한 집단소송에서 약 100억원을 물기로 합의했다. CNN 방송은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플랫폼이 이같은 내용의 집단소송에 대해 9천만달러(한화 약 107억8천만원)를 지급하기로 했다고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번 합의안이 최종 결정되면 미국에서 데이터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집단소송 합의금으로는 상위 10위 안에 들게 될 것이라고 소송을 대리한 법무법인 디첼로 레빗 거츨러는 설명했다.페이스북은 2010년 '오픈 그래프'라는 업데이트를 통해 스포츠 채널 'ESPN'이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팬도라' 등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좋아요' 버튼을 새롭게 선보였다.이용자들은 웹서핑을 하다가 이 버튼을 클릭해 페이스북 친구들에게 자신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알릴 수 있었다.그러나 이를 확인하고 수집할 수 있는 것은 페이스북도 마찬가지였다. 페이스북은 쿠키를 활용해 이용자들이 그간 방문한 사이트, 그들이 보거나 구매한 물품 등 이용자의 활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었다. 특히 플러그인 좋아요 버튼을 누르지 않을 때나, 이런 버튼이 있다느 것조차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할 때에도 데이터를 수집했다. 당시 페이스북은 이용자가 페이스북에서 로그아웃 한 상태일 때엔 이용자가 누구인지 파악할 수 있는 활동 정보 쿠키를 수집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약속과 달리 실제로는 페이스북을 로그아웃한 이용자의 인터넷 활동에 대해서까지 쿠키를 수집한 것으로 드러났다.페이스북 이용자들은 2012년 페이스북이 계약 조건을 위반했다며 집단소송을 제기했
2022-02-16 11:0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