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쩐지 빨리 자라더라니..." 손톱 보면 '노화 속도' 알 수 있다
손톱 성장 속도가 생물학적 노화 진행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다시 주목받고 있다.지난 17일(현지 시각)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노화·유전학 전문가 데이비드 싱클레어 하버드 의대 교수는 2022년 팟캐스트 라이프스팬에서 "손톱 성장 속도가 인체의 노화 진행 정도를 보여주는 신뢰할 만한 지표"라고 소개했다.생물학적 노화는 신체의 세포와 조직 기능의 저하를 의미하며, 실제 연령과 차이를 보일 수 있다.싱클레어 교수는 1979년에 발표된 연구 자료를 인용해 "사람의 손톱 성장 속도는 수명 기간 동안 5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해당 연구에서 연구진은 다양한 연령대의 참가자들 손톱에 테이프를 붙인 뒤 일정 기간 성장 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30세 이후부터 1년에 약 0.5%씩 손톱 성장 속도가 감소했고, 2011년 진행한 후속 연구에서는 이 같은 성장 속도 저하가 25세부터 시작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따라서 손톱이 금방 자라고 같은 연령대보다 손톱을 더 자주 깎아야 한다면, 평균 속도보다 느리게 늙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전문가들은 손톱 성장 속도가 줄어드는 현상이 나이가 들수록 줄어드는 혈류 속도와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혈류 속도 감소는 전반적인 신진대사 저하와 연관돼 있으며, 이는 손톱 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또 영양 결핍이 있거나 호르몬 수치가 달라질 경우 손톱 성장이 느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춘기 청소년이나 임신부는 손톱 자라는 속도가 빠르다.허프포스트 인터뷰에서 피부 미용 전문가인 미셸 헨리 맨해튼 박사는 "나이가 들수록 우리 몸은 손톱의 주요 구성 성분인 천연 단백질
2025-02-20 11:44:21
'유전자 vs 환경' 건강·노화에 더 영향 주는 건?
건강과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유전자보다 환경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옥스퍼드대 코넬리아 반 딘 교수팀은 20일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참가자 50여만명의 데이터를 이용, 164개의 생활방식·환경 요인과 22개 주요 질병의 유전적 위험 점수가 노화·질환·조기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12.5년간 추적 조사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논문 제1 저자인 오스틴 아르젠티에리 박사는 "이 연구는 노화에 대한 환경과 유전학의 상대적 기여도를 정량화해 노화와 조기 사망을 유발하는 환경 및 생활 방식 요인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공한다"고 말했다.추적 기간에 발생한 사망은 모두 3만1716건이었으며, 전체 사망 가운데 74.5%가 75세 이전에 발생한 조기 사망이었다.분석 결과 환경적 요인은 추적 기간의 사망 위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17%를 차지했다. 반면 유전적 요인의 영향은 2%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확인된 25개의 독립적인 환경 요인 중에서는 흡연, 사회경제적 지위, 신체 활동, 생활 조건이 사망률과 생물학적 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흡연은 21개 질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 소득과 주택 소유 여부, 고용 상태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은 19개 질병, 신체 활동은 17개 질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10세 때의 체중과 출생 전후의 산모 흡연 등 생애 초기에 노출되는 요인들은 30~80년 후 노화와 조기 사망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아울러 생활 환경 노출은 폐, 심장, 간 질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유전적 요인은 치매와 유방암 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반 딘 교수는 "
2025-02-20 10:12:17
비만은 유전?...'이 습관'만 고쳐도 충분하다
비만 가능성을 높이는 유전변이가 있어도 생활습관을 바꾸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비만을 일으키는 습관 중에서도 특히 하루에 2시간 이상 눕거나 앉아서 TV를 보는 습관, 업무 시간 외 컴퓨터를 사용하는 습관을 고치기만 해도 유전적으로 발생하는 비만을 막는 데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삼성서울연구병원은 유전체연구소 원홍희 교수,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김민서·심인정 연구원(공동 제1저자) 연구팀이 하버드의대 에밋 케라 교수팀과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33만8000여 명의 유전체 및 생활습관 정보를 분석한 결과 이런 결과를 밝혀냈다고 11일 전했다.연구팀은 우선 체질량지수(BMI)와 연관성이 있는 유전 변이를 파악해 유전적 비만 위험도를 계산했고, 신체활동과 식이, 음주, 수면, 좌식생활 등 5가지 생활습관 요인을 점수로 환산해 건강한 생활습관 점수를 계산했다.그 결과 유전적 위험도가 높고 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을 가진 사람들의 비만 위험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유전적 위험도가 낮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진 사람보다 약 3.54배나 높았다.반면 유전적으로 고위험군에 속해도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사람은 비만 위험이 2.16배로 떨어졌다. 이는 중등도 위험을 가진 사람이 나쁜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2.63배)보다도 낮았다.또 유전적 비만 위험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생활습관 개선이 비만을 예방하는 정도가 컸다. 유전적 위험도 점수를 기준으로 75세까지 비만이 될 확률(%)을 예측한 결과, 하위 5%에서는 8.5% 차이가 났고, 상위 5%는 22%까지 격차가 벌어졌다.특히 눕거나 앉은 자세로 TV를 시청하거나 하루 컴퓨터 사용
2024-07-11 18:24:32
건강한 생활방식, 유전자도 이긴다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신체 활동 등 건강한 생활방식이 유전적 영향을 60% 이상 상쇄하고 수명을 5년 늘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받는다.29일(현지 시각) 영국 일간 가디언은 영국 에든버러대학교와 중국 저장 의과대학 연구팀이 진행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이들은 35만3천742명을 평균 13년간 추적조사해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연구팀은 조사 대상의 유전적인 예상 수명을 긴형(20.1%), 중간형(60.1%), 짧은형(19.8%) 등 세 그룹으로 나눴다. 또 생활방식에 따라 양호한(23.1%), 중간인(55.6%), 좋지 않은(21.3%) 생활방식을 가진 그룹으로 나누어 평균 13년간 이들의 삶을 조사했다.연구팀이 추적 관찰한 결과, 건강한 생활방식을 갖춘 사람은 수명 단축 유전자의 영향을 62%나 상쇄하고 수명을 5년 늘릴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유전적 위험이 높지만 건강한 생활방식을 지닌 40세 참가자들은 기대 수명을 약 5.22년 연장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이에 더해, 유전적 위험이 높은 사람은 생활방식과 관계없이 유전적 위험이 낮은 사람에 비해 조기사망 위험이 2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하지 못한 생활방식을 지닌 사람은 유전적 위험과 상관없이 조기 사망 가능성이 78%나 높아졌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연구팀은 오래 살기 위한 '최적의 생활방식 조합'을 소개했다. 이들은 '절대 흡연하지 않는 것', '규칙적인 신체 활동', '적당한 수면 시간 및 건강한 식단'이 건강한 생활방식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번 결과는 영국 의학 저널(BMJ: British Medical Journal)의 자매지 '증거 중심 의학'(Evidence-Based Medicine)에 실렸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
2024-04-30 17:14:27
"교육 수준 높을수록 건강하게 오래 산다"
많은 교육을 받은 사람일수록 천천히 늙고 수명이 길다는 연구 결과가 등장했다. 교육 수준이 높은 이들이 더욱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공공연한 사실이었지만, 이를 교육적 성취도, 노화 속도, 사망 시기와 연결 지은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헬스데이뉴스(HealthDay News)는 2일(현지시간) 'JAMA Network Open' 저널에 실린 보고서를 토대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높은 교육 수준은 느린 노화 속도, 낮은 사망 위험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연구자들은 1948년 매사추세츠주 프레이밍햄 마을 주민들의 건강을 추적하기 위해 시작된 '프레이밍햄 심장 연구'데이터를 이용해 3세대에 걸친 자료를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노화 속도를 측정할 지표를 마련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노화 과정의 속도계와 유사한 유전자 '시계' 테스트를 사용해 참가자들의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했다. 시계 테스트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사람의 신체가 어떤 속도로 변하는지 측정하는 도구다.그 후 연구자들은 유전적 노화 데이터를 부모와 형제자매들과 비교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에 참여한 이들이 얼마나 더 많거나 적은 교육을 받았는지도 비교했다.연구에 참여한 컬럼비아 대학의 전염병학 수석 연구원인 글로리아 그라프는 "이 연구는 가족 간 차이를 통제하고 교육의 효과를 분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설명했다.교육 및 노화 속도를 측정한 데이터, 수명 등의 기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연구자들은 더 많은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수명이 길고, 노화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2년마다 추가 교육을 받을 경우 노
2024-03-04 15:29:26
자궁내막증, 정신질환과 관련 있을까?
자궁내막증은 유전적으로 여러 정신질환과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자궁내막증은 수정란이 자리를 잡는 자궁 내막이 난소, 복막, 방광, 나팔관 등 다른 장기에 부착해 여성 호르몬에 의해 증식하면서 인근 장기들과 유착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극심한 골반통과 월경통이 나타난다.정확한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아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법도 없다. 가임기 여성 9명 중 1명에게서 발생한다.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의 19일 보도에 다르면, 미국 예일 대학 의대 정신의학 전문의 도라 콜러 교수 연구팀은 자궁내막증은 우울증, 불안장애, 섭식장애(eating disorder) 등 정신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자궁내막증 환자 8천276명(평균연령 53.1세)과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조군 여성 19만4천 명(평균연령 56.7세)의 유전체를 다변량 회귀분석법(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자궁내막증 환자는 자궁내막증이 없는 여성에 비해 우울증, 섭식장애, 불안장애 발생률이 각각 3.61배, 2.94배, 2.6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이러한 연관성은 유전자의 발현 형질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유전자의 표현형이라고도 하는 발현 형질은 눈동자의 색깔이나 곱슬머리 같은 겉으로 나타나는 유전형질을 말한다.연령, 체질량 지수(BMI), 사회경제적 수준, 자궁내막증에 의한 만성 통증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했어도 자궁내막증과 정신 질환 사이의 이러한 유전적 연관성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이는 자궁내막증이 신체 건강만이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2023-01-20 14: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