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기기 화면 많이 보는 청소년, 우울증 위험 높아
청소년의 과도한 디지털기기 화면 사용은 우울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세바스티안 회크비 박사팀은 3일 의학 저널 PLOS 세계 공중보건(PLOS Global Public Health)에서 10대 청소년 4800여명의 스크린 사용 시간과 수면 장애, 우울증 간 관계를 12개월 관찰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스크린 사용 시간과 수면 장애, 우울증 사이의 인과관계 등을 살펴보기 위해 12~16세 남녀 학생 4810명을 대상으로 1년 동안 3차례에 걸쳐 수면의 양과 질, 우울 증상, 스크린 사용량 등을 조사해 분석했다.그 결과 스크린 사용 시간이 늘어나면 3개월 안에 남녀 모두 수면 지속 시간과 수면의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크린 사용 시간은 잠자는 시간이 늦어지게 하고 수면-각성 주기의 여러 측면을 한꺼번에 방해했다.또한 수면의 양과 질 저하는 여학생에게 정서적으로 더 안 좋은 영향을 줬다. 연구 기간 여학생들에게 나타난 우울 증상 가운데 38~57%는 수면 장애가 매개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남학생도 스크린 사용 시간이 증가할 경우 수면 장애를 경험했지만, 이것이 12개월 후 우울증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스크린 사용 시간이 적을수록 건강에 더 좋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공중보건 정책 등을 통해 청소년의 스크린 사용 시간을 줄일 수 있다면 젊은 층의 높은 우울 상태로 인한 부담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4-03 10:4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