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씀씀이 얼마? 연소득 평균 3천92만원, 대출잔액은...
청년층 평균 연 소득은 3천92만원으로, 이들의 월평균 카드값은 147만원으로 나타났다. 또 대출을 보유한 청년층의 평균 대출잔액은 3천700만원이었다.31일 서민금융진흥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청년 금융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19~34세 청년층 927만4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설문 결과 전체 청년층의 평균 연 소득은 3천92만원으로 확인됐다. '2천400만원 초과 3천600만원 이하'가 41.7%, '1천만원 초과 2,400만원 이하' 34.8% 순이었다.이들의 월평균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사용 금액은 147만원으로, '25만원 미만'이 절반(50.4%)으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200만원 미만'(16.2%), '50만원~100만원 미만'(11.2%) 순으로 나타났다.전체 청년의 44.8%(415만8천명)는 대출 경험이 있었고, 현재 대출을 보유한 청년층의 평균 대출잔액은 3천700만원이었다.청년층 평균 신용점수는 806.3점이며, 과반(57.8%)이 '700~900점 미만' 구간이었다. '900점 이상'이 32.1%, '500~700점 미만'이 6.7%였다.설문조사 당시 기준 저축·투자를 하는 청년층은 76.5%이며, 월평균 금액은 94만1천원이었다. 저축·투자 상품의 보유 비율을 조사한 결과, '적금'(80.2%), '주택청약종합저축'(71.7%), '예금'(51.4%) 등 순으로 나타났다.저축·투자 목적으로는 '주거 구입'(46.5%)을 선택한 이들이 가장 많았고, 이어 '목돈 마련'(15.9%), '생계비 마련'(13.1%)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청년들은 본인의 금융 지식수준을 5점 만점에 2.8점, 재무관리 수준은 2.9점으로 답하며 다소 낮게 평가했다.현재 겪고 있는 어려운 재무 문제를 묻는 항목에는 '생활비 상승으로 인한 지출
2025-03-31 15:37:26
연소득 7천만원 부부, 자녀 '있음'보다 '없음'이 더 많아
고소득 신혼부부일수록 자녀가 없는 비중이 더 높다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통계청이 지난 11일 발표한 '2022년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소득은 6790만원으로 전년 대비 6.1%(390만원) 증가했다. 신혼부부는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를 하고,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 관계를 유지 중인 부부로 정의했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5000만~7000만원 미만'이 22%로 가장 많았고, 이어 '7000만~1억원 미만' 21.3%, '3000만~5000만원 미만' 20.2%, '1억원 이상' 17.9% 등 순이었다.연 평균소득이 늘었으나,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의 비중은 오히려 감소했다.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 81만5000쌍 중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는 43만7000쌍이었다. 전년에 비해 0.6%포인트 감소했다. 연 평균소득이 '7000만~1억원 미만'인 초혼 신혼부부는 '자녀 없음' 비중이 53.8%로, '자녀 없음'(46.2%)을 앞섰다. 평균소득이 '1억원 이상'인 경우에도 '자녀 없음' 비중이 51.6%로, '자녀 있음'(48.4%)보다 높았다.반면 연 평균소득이 '7000만원 미만'인 모든 구간에선 '자녀 있음' 비중이 높았다.통계청 관계자는 "소득이 7000만원 이상인 구간에서 자녀 없음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다"라며 "다만 외벌이 부부는 맞벌이보다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자녀가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3-12-12 16:4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