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따라 30대 후반 男 결혼율 달랐다
세계 최저 수준인 우리나라의 출생률이 남성의 소득 불평등과 관련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과 출산 의향의 동태적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저출생 현상이 여성의 문제만이 아니라는 점 등에서 우리나라 남성의 소득 수준과 혼인율의 상관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보고서는 2017∼2019년 통계를 활용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변수를 배제하기 위해 2019년을 가장 최근의 분석 연도로 삼았다. 한 번이라도 결혼한 적이 있는 비율을 일컫는 혼인 비율은 모든 연령층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소득 수준에 따른 혼인 비율 차이는 40세 이상에서 특히 뚜렷하게 나타났다. 2017∼2019년 기준 20대 중후반(26∼3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1분위)는 8%만 결혼 경험이 있지만, 소득 상위 10%(10분위)는 29%가 결혼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30대 초중반(31∼35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31%, 상위 10%는 76%가 결혼 경험이 있다. 30대 중후반(36∼4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47%, 상위 10%는 91%다. 40대 초중반(41∼45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58%, 상위 10%는 96%다. 40대 중후반(46∼5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는 73%, 소득 상위 10%는 98%가 혼인을 해봤다. 고소득 남성들은 30대 후반 이후 혼인 비율이 급속히 높아지지만, 저소득 남성들은 미혼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3-05-15 13:25:01
소득 하위 20% 식비로 월 평균 쓴 금액은...
지난 3분기 소득 하위 20% 가구는 가처분가능소득의 절반을 식비로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가 식비로 쓴 금액은 월평균 42만9천원이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액이 27만9천원, 외식 등 식사비가 14만9천원이었다. 가처분소득(90만2천원) 대비 식비 비중은 47.5%였다. 소득에서 세금·보험료·이자 등 비소비지출을 빼고 남은 금액 가운데 절반 가까이를 식비로 지출한 셈이다.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가처분소득(807만1천원) 대비 식비(128만원)의 비중은 15.9%였다. 4분위는 20.8%, 3분위는 23.5%, 2분위는 26.5%로 소득이 낮을수록 식비의 비중이 컸다.최근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가 서민층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지난 3분기 식료품·비주류 음료의 물가는 1년 전보다 7.9%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5.9%)을 웃돌았다.외식 등 음식 서비스 물가의 경우 8.7% 올랐는데, 이는 1992년 3분기(8.8%) 이후 30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1분위의 식비는 작년 동기(41만3천원)와 비교해보면 3.7% 늘었다.그러나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실질 기준으로는 4.1% 감소했다.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지출 금액은 증가했지만, 실제 가계의 먹거리 소비는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쉽게 말해 1년 전 3천원에 2개를 샀던 식품을 올해는 4천원을 주고 1개를 소비했다는 의미다.식비의 지출 감소 폭은 실질 기준 4분위 -2.4%, 3분위 -2.7%, 2분위 -3.3%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커져, 서민들이 허리띠를 더 졸라매는 모습이었다. 5분위의 식비 지출만 0.8% 늘었다.내년 경기는 올해보다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소득 증가세가 둔화하
2022-11-21 09:5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