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열해도 살아남는 식중독균 '이것' …봄에 특히 조심해야
봄철에 유행하는 '퍼프린젠스 식중독'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가 당부된다. 3~5월에 주로 발생하는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할 때 나타난다. 이 세균이 소장에 들어오면 흔히 설사를 유발하는 독소를 방출한다. 퍼프린젠스균은 오염된 고기나 육류를 주원료로 하는 조리식품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열에 강해 살아남기 때문에 충분히 끓인 음식이라도 다시 증식할 수 있다. 이 균은 하천이나 지하수 등에서 흔히 관찰되며 사람과 동물의 장, 분변에도 분포하고 있다.육류와 튀긴 음식, 용기에 보관된 국에서 잘 검출되고 다른 식중독균과 달리 봄철 발생 빈도가 높은 편이다. 고기를 적절히 조리하지 않거나 오래 실온에 방치하면 균이 증식할 수 있다. 또 음식을 조리한 후 장시간 냉장 보관하지 않으면 역시 증식할 가능성이 높다.퍼프린젠스 식중독 증상은 음식을 섭취한 후 6~24시간 내에 나타나며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된다. 복통과 설사, 구토가 많이 나타나며 체온 상승은 드물지만 가벼운 발열이 있을 수 있다. 면역력이 낮은 아이와 고령층의 경우에는 증상이 더 두드러질 수 있다. 일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탈수 증상이 있다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퍼프린젠스균은 75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대부분 파괴된다. 하지만 일부는 높은 열에도 살아남아 음식이 식어가는 과정에서 다시 증식해 식중독을 일으킨다. 주로 국을 끓인 뒤 상온에서 오래 식히거나 육류를 냉장보관하지 않으면 퍼프린젠스균이 발견될 확률이 높다. 또한 음식을 큰 용기에 대량으로 상온 보관하는 것 역시 위험하다.홍진헌 세란병원 내과 과장은 "봄에는 아
2025-04-04 14:3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