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 대립 너무 심해"...국민에게 '사회갈등' 어떤지 물었더니
지난해 국민이 느낀 '사회갈등' 정도가 2018년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이에 따르면 2024년 6~9월 19~75세 성인 3천 명을 대상으로 '2024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우리 사회의 갈등도는 4점 만점에 3.04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문항이 포함된 2018~2023년 조사를 통틀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2018~2021년 3년간의 조사에서는 각각 2.88점, 2.90점, 2.89점으로 소폭 등락했지만 2022년엔 2.85점으로 다소 낮아졌고, 이후 2023년 2.93점, 2024년 3.04점으로 2년 연속 상승했다.여러 갈등 유형 가운데 응답자들이 가장 심각하게 여긴 갈등은 '진보와 보수' 갈등이었다. 2018년엔 3.35점이었다가 2023년 3.42점, 지난해엔 3.52점으로 상승했다.이어 지역 간(수도권과 지방) 갈등 3.06점, 정규직과 비정규직 3.01점, 노사 갈등 2.97점, 빈부갈등 2.96점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지난해 조사에서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은 10점 만점에 4.32점이었다. 코로나19 시기였던 2021년 4.59점으로 가장 높았다가 2년 연속 후퇴해 2023년엔 4.20점으로 낮아졌으나 작년엔 소폭 회복했다.정부에 대한 신뢰도를 보면 사법부, 행정부, 입법부 순으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법부에 대한 신뢰도는 2014년 32.50%에서 지난해 43.65%로 꾸준히 상승했고, 행정부 신뢰도는 2014년 35.10%에서 2021년 최고치인 47.91%를 찍은 뒤 감소 추세를 보여 지난해엔 39.07%였다.입법부 신뢰도는 2014년보다 6%포인트가량 늘긴 했으나 지난해 24.59%로, 20%대에 그쳤다.사회통합 실태조사는 국책연구기관인 보건사회연구원이 2014년부터 매년 수행하는 과
2025-03-03 21:42:55
韓 사회갈등, 국민 92%는 '이것' 꼽았다..."성향 다르면 연애도 NO"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9명은 가장 심각한 사회갈등으로 진보와 보수 사이의 정치적 갈등을 꼽았다. 정치 성향이 다른 사람과 교제할 수 없다고 답한 이들도 60%였다.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공개한 '사회갈등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변화와 시사점'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9명가량은 여러 갈등 사안 중 정치영역에서의 갈등이 가장 심각하다고 답했다.이번 보고서는 '2023년 사회통합 실태조사' 원자료가 활용됐다. 보사연은 2014년 이후 매년 사회갈등과 사회통합에 대해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해당 자료는 2023년 6~8월, 19~75세 남녀 3천950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다.응답자들의 92.3%는 진보·보수 정치 갈등이 매우 심각하다고 평가했지만, 여성과 남성 간 젠더 갈등(46.6%)은 상대적으로 덜 심각하다고 여겼다.이 밖에도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갈등(82.2%), 노사갈등(79.1%), 빈부갈등(78.0%),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 갈등(71.8%), 지역갈등(71.5%)이 심각하다는 답변이 나왔다.이에 반해 주택소유자와 비(非)소유자 간 갈등(60.9%), 세대 갈등(56.0%), 다문화 갈등(54.1%), 남녀 간 성 갈등(46.6%) 등은 상대적으로 덜 심각하다고 인식했다.다만 주택소유자와 비소유자간 갈등은 2018년 조사 때는 49.6%로 유형별 사회갈등 중에서 가장 낮았지만, 2023년 조사에서는 60.9%로 11.3%포인트나 치솟아 눈길을 끌었다.그 사이에 부동산값 폭등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 현상 및 불균형 문제의 심각성을 반영한 결과로 연구진은 추정했다.성인남녀가 우리 사회의 가장 심각한 갈등 유형이라고 꼽은 정치영역의 갈등은 다른 사람과의 교제 의향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자신과 정치 성향이 다르면
2025-02-05 10:2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