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사람 만나면 두근두근"...성인 20%, '이 증상' 겪었다
우리나라 성인 5명 중 1명은 스스로 '사회불안장애' 증상이 심하다는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창립 20주년을 맞은 대한불안의학회는 전국 성인 남녀 2천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진행한 국민 정신건강 실태 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이번 실태조사에 따르면 사회불안장애 증상 관련 문항에서 응답자의 19.8%가 '심한 수준'이라고 답했으며, 38.6%가 '중간 수준'의 사회불안 증상을 겪는다고 답했다.'사회공포증'이라고도 불리는 사회불안장애는 낯선 사람과 대화하거나 여러 사람 앞에서 연설하는 등 자신을 드러내는 사회적 상황에 불안감과 두려움을 느껴 회피하게 되는 질환이다.남성(16.5%)보다는 여성(23.2%)이 심하다고 호소한 경우가 많았으며, 연령대는 30대 여성(39.1%)이 가장 많고 20대 여성(33.1%), 20대 남성(28.4%), 30대 남성(27.7%) 순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젊은 세대에서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건강불안증상을 호소한 성인은 32.3%에 달했는데, 특히 40대 남성(41.8%)이 가장 많았다.통제하기 어려운 다양하고 과도한 불안과 걱정에 사로잡히는 범불안장애 위험군은 11.4%로 조사됐다.또 응답자의 26.8%는 평생 1번 이상 공황발작을 경험했고, 31.3%는 강박증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발작은 여성에게서, 강박증상은 남성에게 더 빈번한 것으로 확인됐다.대한불안의학회 회장 김찬형 교수는 "다양한 불안장애와 우울증 위험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며 "정확한 평가와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4-11-14 21:32:14
소아·청소년 10명 중 1명 "우울 증상 경험해"
소아·청소년 10명 중 약 1명은 우울장애나 불안장애 등 정신장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복지부)가 전국 6∼17세 소아·청소년 6275명(소아 2893명과 청소년 3382명)을 대상으로 작년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실시한 '2022년 정신건강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전국 단위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조사 결과 소아·청소년의 정신장애 '평생 유병률(현재와 과거 중 정신장애 진단 기준을 충족한 경우)'은 16.1%였다. 소아는 14.3%, 청소년은 18.0%였다.'현재 유병률'은 7.1%였다. 이 중 청소년의 현재 유병률은 9.5%로 소아(4.7%)의 약 2배였다.장애 유형별로는 불안장애의 평생 유병률이 9.6%(소아 10.3%·청소년 9.0%)로 가장 높았다.불안장애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이고 병적인 불안과 공포로 일상생활에 문제를 일으키는 정신장애다. 반면 정신건강서비스 평생 이용률은 소아 7.8%, 청소년 5.6% 등 전체 6.6%에 불과했다.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복수응답)로는 ▲ 아직 서비스받을 정도는 아닌 것 같음(소아 60.1%·청소년 60.0%) ▲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문제가 해결될 것 같음(소아 43.4%·청소년 52.8%) ▲ 전문기관 이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소아 29.2%·청소년 47.6%) ▲ 타인의 시선에 대한 걱정(소아 35.7%·청소년 42.8%) 등을 꼽았다.조사를 실시한 김붕년 서울대 교수는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의 7.1%는 전문가의 도움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낮은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 제고 방안과 주기적인 추후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5-03 10:57:54
국민 정신건강 '비상'..."5명 중 1명은 우울증·불안장애"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불안감과 우울감이 젊은층을 중심으로 전국민에 확산하면서 최근 5년간 국민 5분의 1이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의원(국민의힘·부산 금정)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과 불안장애로 인해 치료받은 환자가 지난 5년간 906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동시에 치료받은 환자도 55만명이나 된다. 지난 한 해 동안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를 진료받은 환자 수는 175만5466명으로 코로나발병 이전인 2019년(142만5533명) 대비 23.1% 늘었다. 특히 30대 미만에서 50%나 증가했다. 지난 2019년 24만2344명에서 지난해 36만3637명으로 급증한 것이다. 다만 지난 5년간 우울증·불안장애 환자의 연령별 현황을 보면, 60세 이상이 334만여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코로나19 이전 2019년과, 이후 2022년 연령대별 증가율을 비교해 보면 20대가 51%로 가장 많이 늘었고, 10대 이하 48.3%, 10대 46.9%, 30대 44.4%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 미만은 50%나 증가해 코로나 이후, 젊은 층 증심으로 불안한 사회에서 혼란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 의원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교육·취업난, 사회 양극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젊은층을 중심으로 우울증과 불안장애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 이전보다 30세 미만에서는 50%나 증가해 염려가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5년간 전국민의 약 5분의 1이 우울·불안장애로 진료를 받고 있는 현상황에서 복지부는 관련 대책이 미흡했다"며 "복지부는 자살과 불안장애,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 대한 대책을 담당과에서 국으
2023-10-04 15:34:40
'장 건강은 정신건강?' 과민성 대장증후군, '이것' 확률 ↑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복통, 설사 또는 변비를 겪는 난치성 위장장애인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미주리 대학 의대 소화기 내과 전문의 예자스 구리 박사 연구팀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불안장애, 우울증, 자살 생각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4일 보도했다.미국 내 4천 개 병원에서 과민성 대장 증후군 치료를 받은 환자 120여만 명의 3년간 진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전체 환자 가운데 38% 이상이 불안장애, 27% 이상이 우울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이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없는 환자들의 우울증, 불안장애 발생률의 2배에 달한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그 이유로 연구팀은 장과 뇌 사이에 신호 전달 경로가 존재한다는 장뇌축(gut-brain axis) 이론을 지목했다. 장뇌축은 장 박테리아의 세포에서 떨어져 나온 부산물이 혈액을 타고 돌며 뇌 기능에 영향을 준다는 이론이다.이를테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불안장애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고 불안장애와 우울증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불안장애 환자는 다른 사람보다 심박수가 높기 때문에 항상 불안하고 땀을 많이 흘리는 경향이 있다. 이는 자율신경계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다.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장뇌축을 통해 자율신경계의 이러한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연구팀은 말했다.이에 대해 텍사스 대학 보건과학 센터 위장·간장 과장 브룩스 캐쉬 박사는 정신 건강이 장 건강의 요소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논평했다.그는 정신 건
2023-03-06 14:23:32
"불 나면 어쩌지?" 걱정 많은 아이, '이것' 일수도
"전쟁 나면 어떡하지? 집에 불 나면 어떡하지?" 자녀가 일상에서 끊임없이 걱정을 나타내면 범불안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다.범불안장애는 불안장애의 일종으로 일상적인 주제에 대해 이렇다할 근거 없이 지나치게 걱정하는 정신 질환이다.일상에서의 불안은 정상 반응인데, 예를 들어 수험생이 시험을 앞두고 불안해하거나 코로나 감염을 걱정하는 기저질환자의 불안감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반응이다.하지만 6개월 이상 과한 걱정과 함께 피로감, 집중력 저하, 복통, 가슴 답답함 등이 동반된다면 범불안장애인지 확인하기 위해 의사를 만날 필요가 있다.범불안장애를 그대로 방치하면 우울증, 공황장애, 알코올 의존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특히 범불안장애는 청소년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면 불안장애 유형이다.임수진 인천가톨릭대 간호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의 경우 전체의 11.2%가 범불안장애 고위험군에 속한다.그런데도 범불안장애는 가정 내에서 정신질환이라기보다 예민한 성격으로 치부되기 쉽다. 또 쓸데없는 걱정을 한다며 타박받을 가능성이 높다.청소년들이 자신의 불안을 정신질환으로 여기고 정신과를 찾아도 거부당하는 경우가 허다하다.청소년 인권 단체 '아수나로'가 지난해 9월 부산 지역 내 정신건강의학과 의원급 의료기관 108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6%가 보호자 동의나 동행 없이는 진료하지 않겠다고 답했다.아수나로 관계자는 "정신과 진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탓에 보호자가 약 봉투를 보고 정신과에 항의하러 가는 경우가 있다"며 "진료 거부는 불법이지만 의사 입장에서는 보호자와의 논쟁을 사전에 회피하기 위해 혼자 오는 청소년
2022-11-29 09:58:19
'약 만큼 좋다' 불안장애 완화하는 이것은?
'마음챙김 명상(Mindfulnss meditation)'이 불안장애 환자에게 약물치료 만큼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 보도에 따르면 조지타운대 메디컬센터 엘리자베스 호지 박사팀이 성인 불안장애 환자 276명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이같은 효과가 증명됐다.연구팀은 환자들을 약물요법과 명상그룹으로 나눠 8주간 치료했고,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불안 증상이 약 20%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불안장애 환자를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눈 다음, 약물요법 그룹에는 불안·우울 치료제인 '렉사프로'의 복제약 '에스시탈로프람'을 10~20㎎ 복용하게 했다. 또 명상그룹은 일주일에 한 번 2시간 반 동안 명상 코스에 참여하고 각자 따로 매일 40분씩 명상을 하게 했다.그 결과 두 그룹 모두 8주 치료기간이 끝난 후 불안 증세가 20% 정도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호지 교수는 "렉사프로는 모든 불안 환자에게는 아니지만 불안 치료에 널리 처방하는 훌륭한 약"이라며 "이 연구가 불안장애 환자들에게 더 많은 치료법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그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약에 심각한 부작용이 있거나 항불안제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들에게 약 대신 명상을 처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명상을 시작하는 것은 약물 요법에 대해 우려하는 사람들에게 불안치료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마음챙김 명상은 동남아시아 중심의 남방 불교권에서 2000년 넘게 수행되던 명상법이다. 연구팀은 1970년대에 존 카바진 박사가 개발한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완화'(MBSR :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요법을 사용했다.호지
2022-11-14 11:38:02
우울증·불안장애 환자 5년 동안 증가
지난해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앓는 환자가 5년 전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17~2021년 우울증·불안장애 진료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17년 대비 2021년 우울증 환자 수는 35.1%, 불안장애 환자 수는 32.3% 증가했다. 지난해 우울증 환자 수는 93만3481명으로 2017년 69만1164명보다 24만2317명 늘었다. 연간 총 진료비 또한 2021년 5271억원으로 같은 기간 73.5% 증가했고, 1인당 진료비는 43만9501원에서 56만4712원으로 늘었다.불안장애 환자 수는 2017년 65만3694명에 비해 2021년에 86만5108명으로 32.3% 증가했다.연간 총 진료비는 2017년 1531억원에서 지난해 85.5% 증가했고, 1인당 진료비는 같은 기간 38.7% 늘어 32만4689원이었다. 연령대별 증가율은 우울증과 불안장애 모두 20대가 127.1%, 86.8%로 가장 높았다. 우울증에서는 20대 환자가 전체의 19.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불안장애의 경우 연령별로 분류하면 2017년에는 50대 환자가 전체의 20.7%(13만5525명)로 가장 많았지만, 2021년에는 60대 환자가 전체의 18.5%(15만9845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안미라 심평원 급여정보분석실장은 "최근 우울증과 불안장애 환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바쁜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마음 건강을 챙기고 가족 및 주위에 힘든 사람이 없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2-06-24 10:54:40
마음이 '벌벌' 떨리는 불안장애, 극복 방법은?
누구나 한번 쯤 심장이 '쿵' 하고 내려앉는 듯한 불안감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우리 몸은 극심한 스트레스, 위험, 고통 등이 예상될 때 이런 공포와 불안을 느낀다. 정상적인 반응이지만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을 때에 '불안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불안장애를 겪는 사람들은 불안과 공포에 압도된 나머지 주어진 상황에 대처하지 못하거나, 공포반응이 지나쳐 쉽게 예민해지고 짜증을 내기도 한다. 이것이 일상생활이나 업무에 지장을 준다면 병적인 상태라고 볼 수 있다.불안장애 환자 수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6년에는 59만7천585명이었던 환자 수가 매년 몇 만명씩 증가해 2020년에는 74만7373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해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만큼, 주의해야 할 정신질환으로 손꼽힌다.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2020년 기준으로 남성환자는 29만1590명, 여성 환자는 45만5783명으로 여성 환자 수가 더 많다. 또 40세~69세 환자가 전체의 51.8%를 차지한 만큼 중년에서 많이 발생한다. 불안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은 공포, 지나친 놀람, 마음이 쉽게 긴장되는 경향, 공황발작(불안발작), 예민함과 짜증, 안절부절 못하는 태도 등이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근육 긴장과 통증(두통, 어깨통증, 요통 등)이나 떨림, 오한, 손발 저림을 호소하기도 한다. 또 심장이 빨리 뛰거나 벌렁거리며, 가슴 통증과 답답함이 발생할 수 있다. 호흡곤란이 오기도 하며, 신경성 위염이나 과민성 대장염을 겪는 환자도 적지 않다.불안장애의 요인은 하나로 설명하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불안장애의 원인을 유전적 요인과 심리적 요
2022-03-22 16:53:00
"규칙적 운동이 불안장애 막는다"…'스키대회-불안장애' 연구결과 발표
규칙적인 운동 등 신체를 움직이는 활동적 생활 방식을 지닌 사람은 불안장애에 걸릴 위험이 현저히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스웨덴 룬드대학 토마스 디에르보리 교수와 마르티나 스벤슨 박사팀은 '1989~2010년 장거리 스키 경주에 참가한 사람들과 스키를 타지 않은 사람들'을 비교한 연구에서 스키 경주 참가자들의 불안 장애 발생 위험이 훨씬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불안장애는 세계 인구의 약 10%가 겪는 것으로 추정되는 정신과적 증세로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2배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불안장애 치료법으로 흔히 운동이 제시되어 왔지만 운동량이나 운동강도 등이 불안장애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연구팀은 스웨덴에서 매년 개최하는 90km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주에 참가하는 활동이 불안장애 발생 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1989~2010년 열린 이 대회 참가자 19만7천685명을 포함한 39만5천369명에 달하는 진료 기록을 분석했다.그 결과 이 스키 경주에 참가했던 사람들은 같은 기간 동안 스키를 타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불안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6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디에르보리 교수는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생활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최대 21년간 추적기간에 불안장애가 생길 위험이 활동적이지 않은 사람보다 60% 낮았다"며 "이런 연관성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발견됐다"고 밝혔다.하지만 운동 수행 수준과 불안장애 위험 간 연관성은 성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스키 경주 성적으로 볼 때, 남성들은 경주 성적과 불안장애 사이에 확실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여성들은 성적이 좋은 경우 불
2021-09-11 13: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