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의 대물림"...스마트폰 중독자 자녀 78%도 '고의존'
부모가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은 경우 자녀도 약 80%가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일상생활, 정서 등에 문제를 겪는 것으로 확인됐다.2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보건사회연구' 최근호에 게재된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의 전이관계'(김소연 외) 논문에 따르면,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와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이 같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연구팀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 조사의 3차년도 데이터 가운데 스마트폰 관련 문항에 응답한 초등학교 6학년생 2천229명과 이들의 부모(어머니 2천51명, 아버지 178명)를 스마트폰 저의존형, 평균형, 고의존형으로 나누어 비교했다.스마트폰 의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느라 일(공부)에 집중이 안 된 적이 있다', '스마트폰 사용에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습관화됐다', '스마트폰이 없으며 안절부절못하고 초조해진다' 등이 포함됐고, 질문에 대한 4점 척도로 응답하게 했다.그 결과 부모 응답자 중 저의존형과 평균형, 고의존형의 비율은 33.9%, 49.5%, 16.6%였고, 자녀의 경우 36.4%, 40.3%, 23.3%로 나타났다.부모와 자녀 간 상관관계를 분석해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 정도가 자녀에게 얼마나 전이됐는지 확인한 결과, 부모가 고의존형인 경우 78.6%의 자녀가 고의존형에 속했다. 반면 평균형이거나 저의존형인 경우 각각 11.7%, 9.7%밖에 되지 않았다. 부모가 저의존형이면 자녀의 54.4%도 저의존형이었고, 37.9%는 평균형에 속했다.한편 부모가 평균형에 속해있다면 자녀도 평균형일 경우가 51.5%로 가장 높았으며, 32.9%가 저의존형, 15.6%는 고의존형이었다.연
2024-07-28 15:36:24
초등생, SNS 많이 할수록 자기 몸에 부정적
페이스북·카카오톡 등 소셜미디어(SNS) 이용이 많은 초등학생은 자기 몸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학술지 '보건사회연구'에 게재된 '코로나19 전후 초등학생의 미디어 이용과 신체 자아상 간의 관계' 논문은 2019, 2020년 실시된 한국아동패널조사 결과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논문에 따르면 소셜미디어 이용이 많은 초등학생일수록 낮은 '신체 자아상'을 보였다.신체 자아상이란 세상에 보여지는 자기 신체, 외모에 대한 평가·지각·태도 등을 뜻하는 개념이다.연구진은 한국아동패널조사에 나온 질문인 '나는 내 외모에 만족한다', '나는 내 키에 만족한다' 등 5개 질문에 대한 학생들의 대답을 점수화했다. 높은 점수일수록 긍정적인 신체 자아상을 의미한다.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인 12~13세 아동이다.연구지는 미디어 이용 행태를 기준 삼아, 학습과 정보 검색이 목적인 '정보추구형',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를 즐기는 '오락추구형', 페이스북·인스타그램·카카오톡 등 SNS를 주로 이용하는 '관계추구형' 등 3가지 유형으로 나눴다.정보추구형과 오락추구형은 미디어 이용 정도와 신체 자아상의 점수 간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관계추구형인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의 이용과 신체 자아상 사이에는 '부'(마이너스) 상관관계가 나타났다.즉 소셜미디어를 많이 이용할수록 자기 신체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라는 것이 통계로 확인된 것이다.논문은 관계추구형 미디어(SNS)에는 사진을 포스팅하고 공유하며, '좋아요' 버튼을 누르는 등 '소셜 그
2024-02-13 01:18:27
韓, 노동시간 최장·여가 만족도 최저..."최하 중 최하위"
한국인의 노동시간이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긴 반면, 유자녀 가정에서 맞벌이 부부 비율은 가장 낮고 여성의 임금 수준도 낮다는 조사자료가 나왔다. 한국은 시간 만족도와 여가시간 모든 측면에서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그룹에 속했으며, 이 중에서도 가장 최하위에 위치했다. 1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학술지 '보건사회연구' 최근호에 실린 '일-생활 균형시간 보장의 유형화' 연구논문에 따르면, OECD 31개국의 2021년 기준연간 근로시간 평균은 1601시간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이 가장 긴 나라는 한국으로 1915시간에 달했고, 그리스(1872시간)와 폴란드(1830시간)가 뒤를 이었다. 근로시간이 가장 낮은 독일(1349시간)에 비하면 한국의 근로시간은 연간 50%가량 더 많았다. 주당 근무시간이 48시간을 초과하는 '장시간 근로자' 비율 역시 한국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OECD 평균은 7.4% 수준이었는데 한국은 18.9%로 매우 높아 리투아니아(0.8%), 라트비아(1.6%)와 극명한 대비를 나타냈다. 유자녀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평균 73.6%로 나타났는데, 스웨덴이 87.2%로 최상위를 기록한 반면 한국은 57.0%로 이탈리아(56.7%)에 이어 가장 낮았다. 남녀 성별 임금격차는 평균 11.5%p 차이를 기록했는데 한국은 2위 에스토니아(19.6%p)보다도 10%p 이상 웃도는 31.1%p의 압도적 차이를 보였다. 성별 임금 격차가 가장 낮은 국가인 룩셈부르크(3.4%p)와는 10배가량 차이가 났다. 연구진은 이처럼 OECD 국가 중 통계 확인이 가능한 31개국의 시간주권 보장 수준을 노동시간(근로시간, 고용률과 맞벌이 수준, 소득, 보육환경)과 가족시간(휴가기간, 휴가사용률, 휴가의 소득대체율, 모성·부성 관련 휴가 법적 보장) 등 2가지 영역, 26개 지표를 통해 수치화했
2023-07-17 22:3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