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귀속분 근로·자녀 장려금 역대 최대 규모
2023년 귀속분 근로·자녀 장려금이 역대 최대 규모로 확인됐다. 작년 귀속분 근로·자녀 장려금은 지금까지 507만 가구에 5조6000억원이 지급됐다.내년 1월 지급 예정인 기한 후 신청분(9∼11월)을 포함하면 총 지급가구·지급액은 518만 가구, 5조7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가구당 평균 지급액은 근로장려금 111만원, 자녀장려금 102만원이며 전체 평균은 109만원이다. 2009년 최초 지급 이후 지금까지 누적 수혜자는 4400만 가구이며 총 지급액은 41조4000억원이다.자녀 장려금은 저출산 영향으로 감소세를 보였지만 올해 소득 기준이 4000만원 미만에서 7000만원 미만으로 완화하면서 수급자(95만 가구)가 전년과 비교해 2배 수준으로 늘었다.근로장려금을 연령별로 보면 20대 이하(28.7%), 60대 이상(32.2%)이 전체의 61%를 차지했다. 이 중 60대 이상의 고령층 수급자 비중이 매년 1∼2%포인트(p) 상승하는 추세다.가구 유형별로는 단독가구가 287만 가구(70%)로 가장 많았고 홑벌이(105만 가구·25.6%), 맞벌이(18만 가구·4.4%) 등이 뒤를 이었다.자녀 장려금을 연령별로 보면 30대 이하(28.5%), 40대 이하(47.6%), 50대 이하(17.9%)가 전체의 94%를 차지했다.가구 유형별로는 홑벌이가 64만 가구(67.3%), 맞벌이 가구는 31만 가구(32.7%)였다.지난 9∼11월 접수된 작년 귀속 기한 후 신청분 근로·자녀 장려금은 내년 1월 설 명절 전까지 지급될 예정이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12-23 14:34:18
한 달 빨리 근로·자녀 장려금 지급
국세청이 작년 귀속 정기분 근로·자녀 장려금을 지급한다. 법정기한인 9월 30일보다 약 한 달 빠르게 지급하는 것. 지급 대상은 299만 가구로 작년보다 38만 가구 늘었다. 지급액은 3431억원 늘어난 3조1705억원으로 가구당 평균 106만원이다.올해 자녀 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이 완화되고 지급액도 상향되면서 지급 대상이 늘었다고 국세청은 설명했다.작년 귀속 근로·자녀 장려금 신청 요건을 충족했음에도 아직 신청하지 못한 가구는 12월 2일까지 자동응답시스템, 홈택스를 통해 '기한 후 신청'을 할 수 있다.근로장려금은 지난해 부부 합산 소득이 단독 가구 기준 2200만원 미만, 홑벌이 가구는 3200만원 미만, 맞벌이 가구는 3800만원 미만이어야 신청할 수 있다. 가구원 전체의 재산 합계액은 2억4000만원 미만이어야 한다.자녀장려금은 부부합산 소득이 7000만원 미만인 18세 미만 자녀를 둔 홑벌이·맞벌이 가구가 대상이다. 재산 기준은 근로장려금과 같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8-29 18:15:16
맞벌이 부부 역대 최대 기록
개편된 방식으로 통계가 작성된 이래 배우자가 있는 가구 중 맞벌이 부부의 비율이 최대를 기록했다.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에 따르면 맞벌이가구는 611만 5000가구로 1년 전보다 26만8000가구 증가했다. 전체 유배우 가구(1268만 7000가구)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2.1%포인트 상승한 48.2%로 나타났다. 통계 개편 이후 최대다.맞벌이 비율은 2019년 45.5%에서 코로나19가 본격화한 2020년 45.0%까지 떨어졌다가 2021년 45.9%에서 2022년 46.1%로 상승한 뒤 지난해는 50% 가까이 육박했다. 모든 연령대에서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전년보다 늘었다. 특히 30대(30~39세)의 비중이 58.9%로 가장 컸고 전년 대비 증가율도 4.7%포인트로 최대였다. 50대(50~59세·58.0%)와 40대(40~49세·57.9%)도 높은 수준이었고, 15~29세 청년 부부의 맞벌이 비중도 52.6%였다. 60세 이상 부부 중 맞벌이를 하는 비율은 32.5%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늘었다.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는 232만 6000가구로 1년 전보다 12만 9000가구 증가했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유배우 가구(409만 5000가구) 가운데 비중은 3.5%포인트 늘어난 56.8%였다. 막내자녀 연령별로 보면 유배우 가구 대비 맞벌이 가구 비중은 맞벌이 가구 비중은 6세 이하(3.9%포인트)에서 가장 크게 늘었고 13~17세(3.1%포인트)와 7~12세(3.0%포인트)에서 모두 증가했다. 자녀가 많을수록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줄었으나 전년대비 모두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여성 취업자 증가가 남성들보다 훨씬 컸고 이게 맞벌이 가구가 늘어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면서 “자녀의 연령이나 자녀수에 관계 없이 맞
2024-06-18 14:51:30
맞벌이 가구수·비중 역대 최대치
지난해 고용지표를 보면 맞벌이 가구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2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에 따르면 맞벌이 가구가 증가했다. 지난해 유배우 가구 1269만1000가구 중 맞벌이 가구는 584만6000가구로 전년보다 2만가구 증가했다. 유배우 가구 중 맞벌이 가구 비중은 46.1%로 전년대비 0.2%p 상승했다. 맞벌이 가구 수와 비중 역시 2015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령별로 보면 맞벌이 가구는 50~59세에서 184만4000가구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40~49세가 158만8000가구, 60세 이상이 146만6000가구였다. 맞벌이 가구 비중은 50~59세, 40~49세에서 각각 55.2%로 높았다. 전체 연령층에서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전년대비 상승했다. 또한 지난해 1인 취업 가구는 455만5000가구로 전년보다 20만4000가구 증가했다. 1인 가구 중 취업 가구 비중은 63.1%로 전년보다 1.3%포인트 상승했다. 1인 취업 가구 수와 비중은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5년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성별 1인 가구 취업 비중은 남자가 70.6%, 여자가 55.5%였다. 여자 1인가구의 취업 비중은 전년보다 1.5%포인트 상승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연령별 1인 가구 취업 비중은 30~39세(88.0%), 40~49세(82.4%) 순으로 높았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15.0%, 도매 및 소매업이 10.6%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 여성 1인 가구 비중이 커지면서 전체적으로 여자 1인가구의 취업 비중이 커졌다”면서 “60세 이상의 여자 1인 취업 가구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3-06-20 17: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