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진수성찬에 과식·소화불량…'거꾸로 식사법' 도움
설날에는 전, 튀김, 고기, 떡, 약과 등 칼로리가 높고 지방이 많은 음식을 주로 먹는다. 이에 소화불량, 복통, 식중독 등 소화기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예방을 위한 첫 번째 방법은 과식을 피하는 것이다. 다양한 음식을 한 끼에 많이 먹게 되면 위에 부담을 줘 속 쓰림, 복통, 더부룩함 등의 소화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하루 권장 칼로리를 초과해 불필요한 지방이 체내에 축적되며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켜 건강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따라서 평소 식사 시간과 양을 고려해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채소부터 시작해 생선, 육류 등을 먹고 밥을 마지막에 먹는 거꾸로 식사법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 음식을 천천히 섭취하며 배가 80% 정도 찬 상태에서 멈추는 것이 이상적이다.설날에는 오랜만에 만난 가족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음주에도 자연스럽게 노출되는데 과음은 위 점막을 자극해 위염이나 역류성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간, 췌장, 장 등 소화기 계통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빈도와 음주량 역시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대동병원 내과 김재한 과장은 “요즘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명절 음식에 대한 주의 사항을 여러 차례 접했을 것”이라며, “그러나 오랜만에 가족들을 만나면 자연스럽게 과식이나 과음으로 이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라며 지적했다.이어 "실제로 명절 연휴 기간 중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 중 복통, 위장염, 식도염 등 소화기 질환이 빈번해 명절에도 건강 관리에서 소홀하지 않아야 한다”라고 말했다.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날 경우 탄산음료를 섭취한다고 소화 기능 완화에 도움을 주지 않으므
2025-01-27 12:22:38
'만세' 수면 자세, 알고 보니 '척추 질환'
팔을 머리 위로 올린 일명 '만세' 수면 자세를 반복한다면 '흉추후만증'을 의심할 수 있다. 우리 몸의 기둥인 척추는 뒤에서 보았을 때 곧은 형태지만 옆에서 바라보면 전체적으로 두 개의 곡선을 이루고 있다. 어깨부터 흉곽 하부까지 이어지는 요추 부위는 뒤로 굽은 ‘후만’의 형태로 20~45도가 정상 범위이나 여러 원인으로 45도를 넘는 경우 ‘흉추후만증’으로 진단한다.흉추후만증은 나쁜 자세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이외에도 선천성, 노인성, 강직성 척추염, 외상 등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등이 굽었다’, ‘등이 튀어나왔다’ 등과 같이 눈으로 보이는 후만 변형이 가장 큰 증상이며 흉추, 요추 등에서 통증이 나타나거나 원인에 따라 심한 후만 변형으로 이어져 하반신 마비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진단에 따라 ▲자세교정 ▲물리치료 ▲보조기 ▲약물치료 ▲수술 등을 통해 치료하게 된다.대동병원 정동문 진료부장(신경외과 전문의·척추센터장)은 “누워서 만세를 하게 되면 어깨가 들리고 목과 어깨 사이 근육이 짧아져 불편함을 느끼는 것이 정상이나 흉추후만증이 있는 경우 일시적으로 등이 펴져 시원하고 편안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장시간 공부하는 학생, 매일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하는 현대인의 경우 나쁜 자세로 인해서 몸의 불균형이 올 수 있는데 신체 부위가 굽어 보이거나 통증이 나타나는 등 이상 증상을 느꼈다면 의료기관에 내원해 진단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라고 말했다.만세 자세가 편하다는 이유로 장기간 유지할 경우 수면하는 동안 목에서부터 허리까지
2024-09-30 19: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