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할 때마다 男女 평균 얼마나 수명 단축되나?
흡연할 때마다 남녀 모두 평균 20분씩 수명이 단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2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연구팀은 보건부의 의뢰를 받아 최근 의료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내용에 따르면 담배 한 개비를 피울 때마다 남자는 기대수명이 17분, 여자는 22분, 평균적으로는 20분이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앞서 2000년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 실린 연구논문은 흡연자가 담배 한 개비를 피울 때마다 기대수명이 11분 줄어든다고 분석한 바 있다. 연구팀은 하루 10개비를 피우는 흡연자가 내년 1월 1일부터 금연하면 불과 8일 만에 기대수명을 하루 연장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또 연말까지 1년간 금연하면 50일 정도의 기대수명 연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연구팀은 흡연자들이 건강과 기대수명 단축을 피하기 위해서는 완전히 금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금연은 언제든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빨리 금연할수록 삶이 더 길고 건강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UCL의 사라 잭슨 박사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흡연이 해롭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 정도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그는 흡연이 주로 중년의 비교적 건강한 시기를 갉아먹으며 건강하지 않은 시기의 시작을 앞당긴다면서, 이는 60세 흡연자가 일반적으로 70세 비흡연자의 건강 상태를 갖게 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12-30 17:10:21
중년 기대수명 5년 늘리는 '이 운동', "매일 160분씩 하세요"
40세 이후 신체 활동량을 일정 수준으로 늘리면 기대 수명이 5년 이상 길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4일(현지시각) 영국 스포츠 의학 저널에 따르면, 호주그리피스대 레너트 비어만 교수팀은 미국 40세 이상 국민의 신체활동추적 데이터와 국립보건통계센터의 사망자 데이터를 이용한 모델 연구에서 이 같은 연관성을 알아냈다고 밝혔다.연구팀은 2003~2006년 미국 국민 건강·영양 조사의 40대 활동 추적 데이터와 2019년 인구조사국 데이터, 2017년 국립보건통계센터 사망자 데이터를 토대로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기대수명 예측 모델을 만들었다.이들은 40대 이상인 조사 대상자를 신체 활동량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별 기대수명을 예측했다. 시속 4.8km의 보통 속도로 매일 160분 이상 걷는 사람이 신체 활동량 상위 25%에 해당했다.분석 결과 모든 40대가 시속 4.8km 속도로 매일 160분 이상 걸을 경우 기대수명이 78.6세에서 84세로 5.4년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또 하루에 50분 정도 걷는 신체 활동 하위 25%는 상위 25% 수준(하루 160분)으로 활동량을 늘리면 기대수명이 10.9년 늘어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활동량이 가장 적은 그룹은 신체활동을 늘릴 경우 기대수명 연장 효과가 가장 컸다. 신체활동 하위 25%인 사람은 걷는 시간을 하루 1시간 늘릴 때마다 기대수명이 376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이 연구는 관찰 연구로 인과 관계를 규명할 수 없고 다양한 한계가 있다면서도, 신체활동 증진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신체활동을 촉진하는 환경을 만들면 기대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이어 "신체활동을 장려하는 교통수단, 걷기 좋은 동네, 녹지
2024-11-15 17:43:28
움직일수록 늘어나는 기대수명…하루 '이만큼' 걸으면 최대 10년↑
불혹이 넘어서도 활동량을 늘리면 기대수명이 10년 이상 증가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호주 그리피스대 레너트 비어만 교수팀은 15일 영국 스포츠 의학 저널(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서 미국 40세 이상 국민의 신체활동 추적 데이터와 국립보건통계센터의 사망자 데이터를 이용한 모델 연구에서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2003~2006년 미국 국민 건강·영양 조사의 40대 활동 추적 데이터와 2019년 인구조사국 데이터, 2017년 국립보건통계센터 사망자 데이터를 토대로 신체활동 수준이 기대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는 예측 모델을 만들었다.이후 40대 이상을 신체 활동량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누고 그룹별 기대수명을 예측했다. 시속 4.8㎞의 보통 속도로 매일 160분 이상 걷는 사람이 신체 활동량 상위 25%로 분류됐다.분석 결과 모든 40대가 시속 4.8㎞ 속도로 매일 160분 이상 걸을 경우 기대수명이 78.6세에서 84세로 5.4년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또 하루 걷는 시간이 50분 정도로 신체활동이 가장 적은 하위 25%인 사람이 걷는 시간을 상위 25% 수준으로 늘릴 경우 기대수명은 10.9년 더 늘어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신체활동을 늘릴 때 기대수명 연장 효과가 가장 큰 사람은 활동량이 가장 적은 그룹이었다. 신체활동 하위 25%인 사람은 걷는 시간을 하루 1시간 늘릴 때마다 기대수명이 376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이 연구는 관찰 연구로 인과 관계를 규명할 수 없고 다양한 한계가 있지만 신체활동 증진에 대한 투자를 늘리면 기대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11-15 11:02:21
기대수명 18년까지 벌어져…영향 요소 4개 발표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어느 연구에서 성별·결혼·교육·인종의 영향으로 기대수명이 18년까지 벌어질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남부 대학(USD) 마리-피에르 베르제론-부셰 교수팀은 6일 의학 저널 BMJ 오픈에서 미국 국가 통계 및 인구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4개 사회적 요소와 관련된 수명 차이를 분석,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2015~2019년 미국 국가 통계·인구 조사 데이터에 등록된 인구와 사망자 정보를 추출해 성별, 인종, 결혼 여부, 교육 수준에 따라 54개 하위그룹으로 나누고 각 요소가 조기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성별은 남녀, 결혼은 기혼, 미혼, 이혼·배우자 사망, 교육은 고졸 이하, 2년제 학위, 대졸 이상, 인종은 흑인, 히스패닉계 백인, 비히스패닉계 백인으로 나눴다.최종 분석은 30세에서 90세 사이의 부분 기대수명을 기준으로 했다. 부분 기대수명은 특정 연령대의 예상 생존 연수를 의미한다.분석 결과 54개 그룹 중 부분 기대수명이 가장 짧은 그룹과 가장 긴 그룹 간 차이는 18년에 달했다. 부분 기대수명이 가장 짧은 고졸 이하, 미혼, 백인, 남성은 37.1년인 반면 가장 긴 대졸 이상, 백인, 기혼, 여성은 55.1년이었다.그러나 각 요인이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작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이상, 백인, 기혼 남성은 부분 기대수명이 52년으로 전체 여성의 81%보다 높았고, 고졸 이하, 기혼, 히스패닉계 백인 여성은 기대수명이 51년으로 전체 대졸자보다 44%보다 길었다.아울러 수명 단축 요인과 연장 요인의 영향은 서로 상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졸 이하 학력은 부분 기대수명을 4년 정도 감소시키지만, 기혼 여성은
2024-08-06 18:23:13
세계 기대수명 얼마? 30년간 '이만큼' 늘었다
세계 기대수명이 1990년 이후 30년간 평균 6.2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흡기 감염, 설사, 허혈성 심장실환 등 주요 질환에 의한 사망자가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다만 2020년 코로나19 펜데믹 영향으로 많은 국가의 기대수명 증가 추세가 약해졌다.4일 의학 저널 랜싯(Lancet)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대 모흐센 나그하비 교수가 주도한 국제연구팀이 전 세계 기대수명과 사망 원인 등을 분석한(1990년~2021년) 보고서 '글로벌 질병, 부상 및 위험 요인 부담 연구(GBD) 2021'에 이런 내용이 담겼다.분석 결과 전 세계 기대수명은 30년 사이에 평균 6.2년 증가했다. 호흡기 감염, 설사, 뇌졸중, 허혈성 심장질환 등 주요 질환에 의한 사망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19 대유행이 2021년 세계 기대수명을 1.2년 단축해, 수십 년 지속된 가파른 기대수명 증가 추세를 둔화시켰다.같은 기간 기대수명이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동남아시아·동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으로 평균 8.3년 증가했다. 이 시기 만성 호흡기 질환과 뇌졸중 등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많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그다음으로 남아시아와 사하라 남부 아프리카가 7.8년 증가했다.코로나19로 가장 사망률이 높아진 국가 중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지역은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로 나타났다.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코로나19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당뇨병과 신장질환 등 비전염성 질병의 위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4-04-04 17:43:02
OECD 국가 중 장수 나라는? "여자는 日, 남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남녀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국가는 남녀 별로 각각 스위스와 일본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2022년 생명표에 따르면 남자 기대수명은 스위스가 81.6년으로 가장 높았고 여자는 일본이 87.6년으로 가장 높았다. OECD 남자 평균 기대수명(78년)과 견주면 스위스는 이보다 3.6년 더 높은 수준이다. 남자의 경우 스위스에 이어 일본·스웨덴(각 81.5년), 호주(81.3년), 노르웨이·아이슬란드(각 81년)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한국 남자의 평균 기대수명은 79.9년으로 14위에 올랐다. OECD 평균보다 1.9년 높다. 여자의 경우 일본이 87.6년으로 OECD 평균인 83.2년보다 4.4년 높았다. 이어 스페인(85.9년), 한국(85.6년), 스위스·호주(각 85.4년), 룩셈부르크(85.3년) 등 순이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자의 기대수명이 OECD 중 3위로 남자보다 순위가 비교적 높았다. 한국이 OECD에 가입한 1996년 당시 남녀 기대수명은 각각 70.2년, 78.3년이었다. 우리나라의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는 5.8년으로 OECD 평균(5.2년)보다 0.5년 더 컸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12-01 15:26:30
'골골 100세'·'유병 장수', 여성이 더 많다
평균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오래 살지만, 남성보다 건강 상태가 나쁘다는 통계가 나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24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5차 여성건강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여성의 기대수명은 86.6세로 남성(80.6세)보다 6년 정도 더 길다. 하지만 2019∼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현재 자신의 건강 상태가 양호하다고 평가하는 여성은 30.9%로 남성(37.0%)보다 6.1%포인트 낮았다. 실제로 여성은 폐경 후 고혈압, 고지혈증 등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혈중지질농도 등이 높아 만성질환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65세 이상 여성 고혈압 유병률은 66.3%로 남성(58.5%)보다 높았다. 또 여성 노인 골관절염 유병률은 46.4%로 남성 노인의 약 3배다. 특히 골관절염 유병률은 노년기에 급증해 여성 노인의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민 건강 증진과 만성질환 부담 감소를 위해 청·중년 여성의 만성질환 위험 요인의 예방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여성의 정신 건강 상태도 남성보다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2021년 국민영양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 여성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32.4%로 남성(28.4%)보다 높다. 우울장애 유병률도 남성(4.8%)보다 여성은(6.7%)이 높았다. 코로나19가 유행한 2020년, 25∼34세 여성의 우울장애 유병률은 11.9%로 다른 연령대 비해 특히 높았다. 여성 청소년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는데, 작년 기준 여성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47.0%, 우울 증상 경험률은 33.5%, 자살생각률은 17.9%로 모두 남성 청소년보다 높았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여성의 건강은 여성 자신뿐 아니라 가족과 사회, 나아가 국가의 건강 문제와도 직결된다"며 "여성 건강 문제
2023-10-24 17:16:09
OECD 국가 중 기대수명 1위 일본,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중 기대수명이 가장 긴 국가는 일본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는 2위에 올랐다.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OECD 보건 통계 2023'의 주요 분야별·지표별 세부 내용을 분석해 우리나라 보건의료수준 및 각 국가의 수준·현황 등을 25일 발표했다. 해당 통계는 건강 수준, 건강 위험요인, 보건의료자원, 보건의료이용, 장기요양 등 보건의료 전반의 통계를 담았다. 국가별로 보면 기대수명이 가장 긴 국가는 일본(2021년 기준·84.5년)이다. 우리나라의 기대수명(83.6년)은 OECD 국가 평균(80.3년)보다 3.3년 길었다. 프랑스(82.4년), 독일(80.8년), 미국(76.4년), 멕시코(75.4년) 등이었다. 우리나라의 회피가능사망률(2020년 기준)은 인구 10만 명당 142.0명으로 OECD 평균인 239.1명보다 낮았다. 회피가능사망률은 질병의 예방 활동을 통해 막을 수 있는 사망과 시의적절한 치료 서비스의 제공으로 막을 수 있는 사망에 따른 사망률을 의미한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이 134.0으로 가장 낮았다. 이어 한국, 독일(195.0), 영국(222.0), 미국(336.0), 멕시코(665.0) 등의 순이었다. 우리나라의 자살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은 24.1명으로,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일본(15.4명), 미국(14.1명), 독일(9.7명), 영국(8.4명), 멕시코(6.3명) 등이었다. 우리나라의 영아사망률(2021년 기준)은 출생아 1000명당 2.4명으로 OECD 평균(4.0명)보다 1.6명 낮았다.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의 흡연율(15.4%)과 1인당 연간 주류 소비량(7.7L)은 OECD 평균인 흡연율 15.9%, 주류 소비량 8.6L이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3-07-25 17:57:01
작년 출생아 기대수명 1년 전 0.1년↑
지난해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이 83.6년으로 1년 전보다 0.1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21년 생명표'에 게재된 내용이다.생명표는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면 특정 연령의 사람이 향후 몇 세까지 살 수 있는지 기대여명을 추정한 통계표다. 최근 사망신고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기 때문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의 영향도 작용했다. 지난해 사망 원인 중 코로나19로 인한 사망 확률은 1.6%로 2020년 0.3%보다 1.3%p 증가했다.노형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기대수명) 증가 폭이 작아진 주요 원인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건강 위험요인이 2020년보다 2021년에 작용한 면이 있었다"며 "그로 인해 기대여명의 증가 폭이 좀 줄었다"고 설명했다.남자의 기대수명이 80.6년, 여자는 86.6년으로 남녀 격차는 6.0년이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2-12-06 15:22:17
한국인 기대 수명 증가...몇 세?
한국 국민의 기대 수명이 10년 전보다 3.3년 증가한 83.5년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3년 더 긴 것으로, 회원국 중 상위권에 속한다.국민 1인당 외래 진료 횟수는 연간 14.7회로 나타나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반면 보건의료 인력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보건복지부는 이달 초 발표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2'을 토대로 우리나라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26일 공표했다.기대수명이란 해당연도에 출생한 사람이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 수를 의미한다.통계에 따르면 한국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CED 국가 평균인 80.5년보다 3년 길고, 기대 수명이 가장 긴 일본(84.7%)과 비교하면 1.2년의 차이를 보였다.이는 10년 전에 비해 3.3년 증가한 수준이다. 또 전체 사망자 중 조기 검진과 적절한 치료 등으로 죽음을 예방하거나 피할 수 있었던 사람의 비율인 '회피가능사망률'은 가장 최신 자료인 2019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147.0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 평균인 215.2명보다 낮다.국내 인구 10만명당 회피가능사망률은 2009년 237.0명, 2014년 185.0명, 2019년 147.0명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5% 감소하는 긍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자살 사망률은 2019년 기준 인구 10만명 당 25.4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2009년 35.3명에서 10년새 약 10명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OECD 평균(11.1명)의 두배를 훌쩍 넘는 수준이다.영아 사망률은 2020년 출생아 1천명당 2.5명으로 평균(4.1명)보다 1.6명 낮았다.대표적인 건강 위험 요인인 흡연율과 주류 소비랑은 10년간 감소 추세를 나타냈으나, 과체중·비만 인구는 증가했다.2020년 국내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사람
2022-07-26 12:59:30
기대수명 점점 늘어나…2020년생 평균 수명 83.5세
2020년에 태어난 아이들은 평균 수명이 83.5세인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상 남녀 모두 기대수명이 OECD 평균보다 높았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2020년 생명표'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전년보다 0.2년 상승했다. 생명표는 현재와 같은 사망 추세가 계속 유지된다고 가정했을 때 특정 나이인 사람이 몇 년을 더 살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통계가 작성된 이래로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신생아 기대수명은 20년 전과 비교하면 7.5년이 늘었다. 성별로 나눠보면 지난해 출생한 남성과 여성의 기대수명은 각각 80.5세, 86.5세로 각각 직전 해보다 0.2년씩 늘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남성은 3.6년, 여성은 2.8년씩 기대수명이 늘어났다. 특히 여성 기대수명의 경우 OECD 평균(83.2년) 보다 3.3년 높을 뿐만 아니라 회원국 38개국 중 1위인 일본 다음으로 높다. 한편 지난해 태어난 아이가 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2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자와 여자가 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각각 26.4%, 15.9%로 집계됐다. 모든 연령층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생존확률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1-12-01 17:48:19
2019년생 기대 수명 남녀 80세 이상으로 나와
작년에 태어난 아기들의 기대수명은 남아가 80.3년, 여아가 86.3년으로 나타났다. 지난 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생명표’에 따르면 2019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전년 대비 남아는 0.5년, 여아는 0.6년 증가했다. 또한 2019년 기준 40세인 남성은 41.3년, 여성은 47.1년 더 살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작년에 60세였다면 앞으로 남자는 23.3년, 여자는 28.1년 더 생존할 것이라고 ...
2020-12-02 09:4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