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효과 못지않네" 노년기에 '이것' 먹으면 근감소증 예방 가능
노년기의 비타민D 보충이 근육 형성에 운동만큼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동물 실험을 통해 비타민D의 노년기 근감소증 개선 효과를 확인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라이프 사이언스'(Life Sciences) 최근호에 수록했다고 19일 밝혔다.연구진이 3개월의 어린 쥐와 18개월 노령 쥐에 4개월간 비타민D를 투여한 결과 비타민D를 투여하지 않은 노령 쥐는 혈중 비타민D 수치가 현저히 낮고 근감소증이 나타났다. 반면, 비타민D 섭취 노령 쥐는 근육량과 근력이 정상으로 유지됐다.근감소증 예방과 치료를 위해선 꾸준한 운동이 효과적이다. 운동을 하면 근육호르몬 마이오카인이 분비돼 근기능 향상뿐 아니라 뇌, 간, 지방 등에서의 대사조절과 염증 완화에 영향을 준다.나이가 들수록 마이오카인 중 아펠린(7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펩타이드)과 그 수용체 양이 급격히 감소하는데, 연구팀은 비타민D가 아펠린의 혈중 농도와 수용체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근육조직의 세포 노화가 완화되고, 근단백질 합성은 증가해 근감소 예방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비타민D에 의한 근기능 개선은 운동할 때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노화로 인해 운동이 어려운 노인도 비타민D 섭취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셈이다.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노년기 비타민D 섭취를 통한 근감소증 예방과 그 기전을 직접적으로 밝힌 의미 있는 연구"라며 "충분한 비타민D 섭취로 근감소증을 예방해 건강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12-19 14:14:49
노년기 '이것' 줄어들면 치매 위험 60% 높아진다
골격근량이 줄어드는 근감소증(sarcopenia)을 겪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 발병 확률이 60%가량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볼티모어 존스홉킨스대 의대 카미야 모라디 박사팀은 4일 치매가 없는 70세 이상 노인들의 측두근 양과 치매 발병 위험 간 관계를 5.8년 간 추적·분석한 결과 이런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뼈와 연결된 골격근은 몸무게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근육으로 나이가 들면서 점차 줄어든다. 머리에 있는 측두근은 아래턱을 움직이는 데 쓰이는 근육이다.연구팀은 노화와 관련된 골격근 손실은 알츠하이머성(AD) 치매 노인에게서 종종 확인된다며, 이 연구는 골격근 손실을 척도로 측두근 손실이 노인의 AD 치매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다른 신경학적 질환으로 뇌 MRI를 촬영한 이력이 있는 70세 이상 노인 621명(평균 연령 77세, 치매 없음)을 대상으로 뇌 MRI 사진을 통해 측두근의 크기를 측정한 뒤, 근육량 감소와 치매 발병 위험을 조사했다.참가자들은 측두근 크기가 큰 그룹 131명, 작은 그룹 488명으로 나뉘었고, 연구팀은 평균 5.8년간 AD 치매 발병률과 인지 및 기능 점수 변화, 뇌 부피 변화 등을 추적했다. 그 결과 측두근 크기가 작을수록 AD 치매 발병 위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추적 기간 동안 측두근 크기가 작은 노인은 기억력 종합 점수와 기능 활동 점수가 더 많이 떨어졌고, 구조적 뇌 용적 감소 폭도 다른 이들에 비해 컸다.공동 연구자인 매릴린 앨버트 교수는 "골격근이 작은 노인은 다른 알려진 AD 치매 위험 요인의 영향을 고려하더라도 AD 치매에 걸릴 위험이 골격
2024-12-04 13:24:39
근감소증 위험 낮추려면 일주일에 몇 회 운동해야 할까?
일주일 중 3일을 투자해 2년 넘게 근력 운동을 하면 근감소증 위험이 50% 가까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자료를 활용해 40∼79세 성인 약 12만6339명을 대상으로 저항성 운동의 수행 빈도·기간과 저근육 위험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저항성운동은 자기 신체 무게나 기구 등을 활용해 근육의 이완·수축을 반복하는 운동으로, 근력운동이 대표적이다. 저근육은 신체기능 저하를 가져오면 골다공증, 당뇨병, 사망률의 위험성 높인다.연구진은 저항성 운동의 수행 빈도를 주당 1일, 2일, 3∼4일, 5일 이상 수행한 경우로 나누고, 수행 기간은 12개월 미만, 12∼23개월, 24개월 이상 지속한 경우로 나눠서 연구 대상을 분석했다.그 결과 주 3∼4일씩 12∼23개월 저항성운동을 한 경우 아예 안 했을 때보다 근감소증 위험이 20% 줄었다. 주 5일 이상 운동한 경우에는 24% 감소했다. 24개월 이상 지속한 경우에는 근감소증 위험이 45% 줄었다. 다만 주 3일씩 1년 이상 운동한 경우가 9%에 불과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노화 연구 분야 국제학술지 최근호에 실렸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3-19 1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