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가격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
10년 동안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 자장면인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지역의 7개 외식 메뉴 가격은 2014년 12월 대비 평균 40.2% 올랐다.해당 기간 대표적인 서민 음식인 자장면 가격이 4500원에서 7423원으로 65.0% 올라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자장면 가격은 2019년 5000원대로 올랐고, 2023년에는 7000원을 넘었다. 냉면 가격도 8000원에서 1만2000원으로 50% 뛰었고 김치 찌개백반(5727원→8269원)과 칼국수(6500원→9385원)도 나란히 44.4%의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비빔밥(7864→1만1192원)이 42.3%, 삼겹살(200g 기준 1만4만535→2만282원)은 39.5% 각각 올랐다.김밥은 3200원에서 3500원으로 9.4% 올라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적었다. 다른 메뉴에 비해 자장면 가격이 더 많이 오른 것은 주재료 대부분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동훈 한국물가정보 선임연구원은 "자장면은 농산물부터 가공식품, 축산물까지 다양한 식재료가 들어가 그만큼 물가 변수에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며 "식재료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르는 추세여서 자장면 가격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1-30 12:13:50
국내 소비 시장에 나타난 '칩플레이션' 무엇?
국내 소비 시장에서 '칩플레이션'(cheapflation)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칩플레이션은 가격이 낮다는 의미의 '칩'(cheap)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다. 이는 저렴한 상품을 주로 소비하는 취약계층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가중됐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한국은행은 18일 보고서에서 "대한상공회의소가 3천여개 조사 대상 판매점의 판매 기록을 저장한 '스캐너 데이터'를 이용해 가공식품 상품의 가격 분위별 물가지수를 산출한 결과, 팬데믹 이후 칩플레이션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지난 2019년 평균 가격을 기준으로 동일 품목 내 상품들을 1~4분위로 분류한 뒤 2020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분위별 누적 상승률을 비교했다.그 결과 1분위 저가 상품의 가격 상승률은 16.4%에 달한 반면, 4분위 고가 상품의 가격 상승률은 5.6%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연구팀은 더 나아가 칩플레이션이 가계 소득계층 간에 체감 물가(실효 물가)의 격차를 벌려 인플레이션 불평등을 심화하는 요인이 된다고 강조했다.실제 2019년 4분기~2023년 3분기 중 하위 20% 저소득층의 실효 물가 누적 상승률은 13.0%에 달해 상위 20% 고소득층(11.7%)보다 1.3%포인트(p) 높았다.칩플레이션 원인으로는 수입 원자재 가격의 급격한 상승을 지목했다. 저가 상품에는 국내산 재료보다 수입 원자재가 많이 사용되는데, 팬데믹 이후 수입 제조용 원재료의 국내 공급 물가가 국내 생산·출하 원재료보다 더 크게 상승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저소득층이 더 고통받는 칩플레이션은 물가 급등기에 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며 "통화정책을 통해 전체적으로
2024-12-18 14:26:42
고속도로 휴게소 인기메뉴 '이것' 4년 동안 가격 '껑충'
고속도로 휴게소의 인기 메뉴인 우동과 돈가스, 비빔밥 가격이 지난 4년 사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태준 의원실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2020∼2024년(연도별 7월 기준) 고속도로 휴게소 매출 상위 10개 음식값 변화 자료에 따르면 우동류의 평균 가격은 올해 6623원으로, 지난 2020년 5455원보다 21.4%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우동류 가격은 2021년 5890원, 2022년 6285원, 2023년 6526원 등으로 꾸준히 올랐다.돈가스류는 지난 4년 사이 8779원에서 1만653원으로 21.3%가 올라 두 번째로 인상률이 높았다. 돈가스는 '휴게소 10대 음식' 가운데 유일하게 평균 1만원을 넘어섰다.같은 기간 8207원에서 9650원으로 17.6% 오른 비빔밥류가 뒤를 이었다.외식 물가를 포함한 생활물가지수가 지난 7월 기준 116.36으로 지난 2020년 7월(99.31)과 비교해 17.2% 오른 점을 고려하면 이들 3개 메뉴의 가격 상승률이 특히 두드러진다.라면류(4392원→4885원, 11.2%), 핫도그류(3725원→4151원, 11.4%), 떡꼬치류(3519원→3951원, 12.3%), 아메리카노(3981원→4507원, 13.2%), 카페라떼(4696원→4919원, 4.7%) 등은 지난 4년 사이 비교적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특히 라면류와 떡꼬치, 핫도그 등 3개 메뉴는 1년 전에 비해 가격이 내렸다. 라면류는 0.8%, 떡꼬치는 5.8%, 핫도그는 6% 인하됐다.도로공사는 지난해부터 '실속상품'으로 지정한 데다, 떡꼬치와 핫도그의 경우 지난 2월부터 3천500원 이하 중저가 상품을 늘리는 '알뜰간식'으로 운영해 가격이 내렸다고 설명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9-12 14:5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