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터스톡
아직 은퇴하기 전인 국민의 81%가 은퇴 후 소득 공백 기간에 대해 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연구원은 '소득 크레바스(은퇴 후 소득 공백 기간)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대비' 보고서를 통해 60세 미만 전국 성인남녀 15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비은퇴자 중 81.3%가 "은퇴 후 소득 공백기 간이 걱정은 되지만 아직 준비는 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은퇴 후 소득 공백 기간에 대해 "잘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열 명 중 한 명꼴인 12.0%에 불과했고, 6.7%는 "준비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라고 답했다.
특히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0대가 82.1%, 40대가 87.3%였고 50대는 이보다 낮은 81.4%였다. '소득 크레바스'에 대한 인식률도 낮았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소득 크레바스를 안다고 답한 응답자는 28.5%였고, 들어본 적은 있다는 답이 42.1%, 들어본 적조차 없다는 이도 29.4%나 됐다.
응답자들이 꼽은 은퇴 후 주된 소득원 1순위는 국민연금이었다. 이들은 은퇴 후 주된 소득원(중복 응답)으로 ▲국민연금(46.9%) ▲예금·적금·저축성보험(16.1%) ▲퇴직연금(8.9%) ▲주식·채권(8.7%) ▲개인연금(8.6%) ▲부동산(7.1%)의 순으로 답했다. 또 이들 대부분(75.5%)은 정상수급 개시 연령에 연금을 수급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보험연구원 오병국·변혜원 연구위원은 "대다수 응답자는 은퇴 후 소득 공백 기간에 대한 인식과 대비 수준이 낮으므로 관련 위험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위해 사적연금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국민연금 조기 수령 신청을 통해 대응할 수 있겠지만, 향후 받게 되는 연금액이 감액되는 점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을 포함한 사적 연금은 연금 수급개시 연령이 55세 이상이므로 은퇴 후 소득 공백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대부분 응답자의 사적연금 활용도가 높지 않아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지원과 금융회사의 다양한 연금 상품개발과 공급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