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돌폼 플랫폼 '맘시터' 운영사 맘편한세상이 맘시터 부모회원 6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육아 공백 빈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러한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28일 맘시터에 따르면 90%가 재택 일정 변경, 질병으로 인한 아이 등원 불가,육아 도우미 공백 등 갑작스럽게 아이 돌봄이 필요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고 답했다. 67%는 이러한 일로 인해서 퇴사를 고민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HR 담당자 2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직장 내 육아 복지에 대한 현황' 조사에서는 유연근무제(70%), 출산선물 (53%), 2~3년의 육아휴직(24%), 직장어린이집(17%) 순으로 육아 복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48%는 실질적인 육아 부담 완화나 업무 몰입도 지원을 위해 현재의 육아복지 제도를 보다 현실적으로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또한 직장 어린이집을 운영해도 수혜자 범위가 제약적이라는 한계가 지적됐다. 구체적인 사유는 ▲입소 가능 아이의 정원 제한 ▲자녀와 출·퇴근 가능 거리에 거주 여부 ▲자녀 동반 출·퇴근에 따른 근무시간 제한 ▲주말 돌봄 불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장어린이집 설립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은 ▲설립 예산 부담 ▲적합한 부지 확보 제약 ▲도입과 운영상 어려움이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